2025.07.18 11:40
테슬라가 주력 전기 SUV 모델 Y의 차체를 대폭 키운 새로운 변형 모델 ‘모델 Y L’을 올가을 중국 시장에 출시한다. ‘L’은 롱(Long)의 약자로, 전장과 휠베이스를 늘려 실내 공간을 확보하고, 좌석 배치를 6인승으로 확장한 것이 핵심이다. 이 모델은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 인증 문서를 통해 먼저 모습을 드러냈으며, 테슬라는 웨이보 공식 채널을 통해 해당 모델의 출시 계획을 알렸다.모델 Y L은 기존 모델 Y 대비 차체 길이가 179mm 늘어난 4976mm에 달하며, 휠베이스도 3040mm로 50mm 더 길다. 차체 높이 또한 40mm 늘어난 1668mm다. 다만 너비는 기존 모델과 동일한 1920mm로 유지됐다. 외형은 전반적으로 모델 Y 페이스리프트 버전2025.07.18 11:31
자동차 전동화의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전동화 차량은 순수전기차(BEV)가 아니다. 바로 ‘하이브리드(HEV)’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언제나 토요타가 있다.▍1997년 프리우스, 모든 것의 시작토요타가 세계 최초의 양산형 하이브리드 자동차 ‘프리우스’를 출시한 것은 1997년이다. 지금으로부터 30년도 더 전, 내연기관의 시대 한복판에서 토요타는 ‘엔진과 전기모터의 공존’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당시만 해도 낯설고 비효율적으로 보였던 이 기술은, 시간이 지날수록 효율성과 친환경성, 안정성이라는 장점을 통해 전 세계에 퍼져나갔다. 현재까지도 프리우스는 5세대 모델까지 진화를2025.07.18 08:01
“혼다는 느리지만, 한 번 내놓으면 다 바꾼다.” 이 말을 이해하기 위해선 조금 더 긴 호흡이 필요하다. 엔진의 왕국이자 바이크의 제왕, 그리고 로봇의 선구자였던 혼다는 지금 전기차 시대를 맞아 다소 조용하지만 집요하게 움직이고 있다. 혼다의 전기화 전략은 배터리, 로봇, 항공, 그리고 모터스포츠까지 연결돼 있다. 이 다면적인 전략이야말로, 지금 이 브랜드를 다시 바라봐야 하는 이유다.혼다는 2040년까지 글로벌 승용 라인업의 100% 전동화를 목표로 한다. 계획은 세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GM과의 협업이다. 얼티엄 배터리와 플랫폼을 공유해 북미 시장에 ‘프롤로그(Prologue)’와 ‘ZDX’를 선보인다. 이들 모델은 혼다 브랜드2025.07.17 07:38
포드가 전통 오프로더 브랜드 ‘브롱코’를 전기차로 변신시켰다. 중국에서 포드와 장링자동차(JMC)의 합작으로 개발된 ‘브롱코 뉴 에너지(Bronco New Energy)’는 순수 전기차 및 확장형 전기차(EREV)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새로운 모델이다. 내연기관의 상징이던 브롱코가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완전히 다른 얼굴로 돌아온 셈이다.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사이트를 통해 공개된 브롱코 EV는 크기부터 압도적이다. 전폭 1956mm, 전장 5005mm, 휠베이스는 2950mm에 달한다. 이는 포드 브롱코 랩터보다도 크며, 기아의 3열 전기 SUV EV9과 거의 맞먹는 사이즈다. 이 차량은 프레임 차체가 아닌 모노코크 바디 구조로 제작됐으며, BYD의 배터리 기2025.07.17 07:30
한국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했지만, 최근 토크가 꺾인 듯한 흐름이 감지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는 기아 EV3로 5000대 이상 판매되며 압도적인 존재감을 보였다. 보조금 적용 시 3000만 원대 초반의 실속형 가격과 도심형 SUV의 실용성을 내세운 게 주효했다.뒤를 이어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2700대 이상), 그리고 수입 전기차 대표 격으로 테슬라 모델Y(약 2000대)가 올랐다. 이외에도 현대 아이오닉5, 기아 EV6, BMW iX3, 폭스바겐 ID.4 등이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충전 인프라 확대와 다양한 프로모션 덕분에 국산·수입차 간 경쟁이 한층 치열하다.단일 모델 누적 판매 기준 1위는 현대 아이오닉52025.07.17 07:29
길 위에 전기차가 넘쳐난다. 이제 전기차는 더이상 특별한 존재가 아니다. 하지만 전기차라고 해서 모두 같은 전기차는 아니다. 스펙트럼도 넓어졌다. 마치 게임 속 신분제처럼, 전기차 세계에서도 가격에 따라 계급과 지위가 확연히 나뉜다. 천민부터 황제까지, 가격대별 대표 전기차들을 통해 현대판 전기차 신분도를 유쾌하게 그려봤다.평민, 서민의 든든한 소(所):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평민이라 부르기엔 미안하지만, 시작은 역시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이다. 최근 연식변경을 거쳐 출시된 이 도심형 전기차는 세제 혜택 후 2700만 원대부터 시작한다. 크기는 작고 출력은 84.5kW, 주행 가능 거리는 최대 315km다. 길게 달릴 생각 말고 그냥2025.07.16 09:05
기아가 새롭게 내놓은 준중형 전기 세단 EV4는 첫인상부터 예사롭지 않았다. 수직형 테일램프와 날이 선 캐릭터 라인, 각진 전면부가 전기차의 다음 디자인을 암시한다. SUV처럼 각을 살린 실루엣이지만 루프라인에서 길게 이어지는 롱테일형 트렁크 라인은 공기역학적 설계의 결과물이다. 지금까지의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어색함이 잔뜩 묻어난다. 대신, 도로 위 존재감은 기대 이상이다. EV4를 타고 주행하는 동안 시선을 받는 건 오히려 평범한 일이다. 실내는 EV3와 상당 부분을 공유한다. 12.3인치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 5인치 공조 패널이 하나로 이어진 파노라믹 디스플레이는 시각적 일체감이 뛰어나고, 반응 속도도 빠르다.2025.07.15 18:37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HS효성더클래스가 세계 최초의 마이바흐 전용 전시장 및 서비스 센터인 ‘마이바흐 브랜드센터 서울(Maybach Brand Center Seoul)’을 강남구 압구정동에 새롭게 열고 15일 공식 오픈 행사를 진행했다.‘마이바흐 브랜드센터 서울’은 메르세데스-벤츠의 최상위 럭셔리 브랜드 ‘마이바흐’만을 위한 단독 공간으로, 고객들이 브랜드의 철학과 가치를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전시장이다. 기존 메르세데스-벤츠 전시장과 차별화된 사전 예약 중심의 응대 시스템을 기반으로 보다 정제된 상담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입차부터 출차까지 전 과정에서 마이바흐만의 품격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외관은 동양의 미2025.07.15 18:29
현대자동차가 엔트리 SUV 캐스퍼의 상품성을 대폭 개선한 2026년형 연식변경 모델 '2026 캐스퍼'와 '2026 캐스퍼 일렉트릭'을 15일 공식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이번 2026년형 캐스퍼는 고객 선호도가 높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안전 및 편의 사양을 트림별로 기본화해 기존 대비 상품 경쟁력을 크게 높인 것이 특징이다.2026 캐스퍼는 디 에센셜 트림부터 10.25인치 내비게이션(블루링크, 폰 프로젝션, 인카페이먼트, 블루투스 핸즈프리, 6스피커)과 ECM(자동 눈부심 방지) 룸미러, 1열 LED 선바이저 램프 등을 기본 적용해 고객들의 편의성을 한층 강화했다.엔트리 트림인 스마트 트림 역시 D&N(수동 눈부심 방지) 룸미러와 운전2025.07.15 09:05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현지시각), 영국 서섹스에 위치한 굿우드 하우스에서 열린 ‘2025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Festival of Speed, FOS)’가 전 세계 자동차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1993년부터 시작된 이 행사는 올해로 32회째를 맞았으며, ‘위닝 포뮬러, 챔피언과 도전자들(The Winning Formula – Champions and Challengers)’를 주제로 펼쳐졌다. 1.86km의 힐클라임 코스에는 전통적인 내연기관 머신부터 하이브리드 슈퍼카, 수소 콘셉트카, 순수 전기차에 이르기까지 기술과 디자인이 집약된 최신 차들이 모였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은 6종의 차들을 꼽아봤다. 첫 번째는 페라리의 새로운 하이퍼카 F80이다. 페라리의 80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