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9 06:43
지난달 국내 수입차 시장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테슬라가 메르세데스-벤츠와 BMW를 제치고 등록 대수 1위를 기록하며 전기차 시장의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5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총 2만8189대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지난 4월(2만1495대) 대비 31.1%, 지난해 같은 달(2만4209대) 대비 16.4% 증가한 수치다. 올 1~5월 누적 등록대수는 11만341대로, 전년 동기(10만352대) 대비 10.0% 증가했다.브랜드별로는 테슬라가 6570대로 선두를 차지했고, 메르세데스-벤츠 6415대, BMW 6405대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포르쉐(1192대2025.06.09 06:40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률 50%.” 이재명 대통령이 내세운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 목표다. 전체 등록 차량 중 절반 이상을 전기차로 바꾸겠다는 이 야심찬 공약은 친환경 산업과 탄소중립 흐름에 부합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보면, 국내 보급률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5년 3월 기준 국내 전기차 등록 대수는 약 62만 대. 전체 차량 등록 수 약 2,600만 대의 2.4%에 불과하다. 최근 3년간 매년 20만 대 안팎의 신차가 EV로 전환됐지만, 이 속도만으로는 2030년 50% 목표에 도달하긴 쉽지 않다.반면, 전기차 선진국들의 수치는 훨씬 앞서 있다. 노르웨이는 전체 신차 판매의 90% 이상이 전기차이2025.06.07 09:05
BMW는 SUV를 SUV답지 않게 만드는 데 일가견이 있는 브랜드다. 새롭게 등장한 iX2는 그 전통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얼핏 보면 X1의 전기차 버전인 iX1과 큰 차이 없어 보이지만, 실상은 꽤 다르다. 뒷모습의 급격한 패스트백 라인이 상징하듯, iX2는 보다 스포티하고, 더욱 젊은 감각을 품었다. SUV라기보다는 낮게 깔린 해치백에 가깝다는 느낌이다.사실 X2라는 모델 자체가 BMW SUV 라인업에서 꽤 독특한 존재다. X1과 플랫폼을 공유하지만, 스타일은 더 쿠페에 가깝다. ‘왜 이렇게 만들었지?’ 싶은 질문에 BMW는 일관된 대답을 한다. “그냥 더 재미있게 타라고.” 그런 X2의 전동화 버전인 iX2는 그 컨셉을 유지하면서도 한층 진화한 인상2025.06.06 07:14
BMW 그룹 코리아가 2025년 한국 진출 30주년을 맞았다. 1995년 7월, 독일 BMW 그룹이 100% 출자해 설립한 국내 최초의 수입차 현지 법인이었던 BMW 그룹 코리아는 30년 동안 한국 수입차 시장의 변화를 이끌며 업계 선두로 우뚝 섰다.이에 지난 5일 BMW그룹코리아는 인천 영종도에 위치한 BMW드라이빙센터에서 30주년 기념행사를 치렀다. 드라이빙 쇼와 택시 드라이브 등 다채로운 체험 콘텐츠가 펼쳐졌고 건물동에서는 국내 최초로 신형 1시리즈와 2시리즈가 공개, 그리고 극소수 한정 생산될 계획인 콘셉트카 'BMW 스카이탑(Skytop)'도 전시돼 이목을 끌었다. 이날은 미디어 대상이었지만, 8일까지 고객 행사로도 이어질 예정이다. BMW코리아2025.06.05 08:09
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후보가 당선 확정되면서, 한국 자동차 산업이 대전환의 기로에 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기차와 수소차 중심의 친환경 모빌리티 육성, 배터리 산업 강화, 자율주행 기술 지원 등 미래차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격상시키는 정책을 예고했다.이 대통령은 유세 과정에서 “수송 부문 에너지 수입을 제로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단순한 전기차 확산을 넘어, 에너지 안보와 기후위기 대응까지 꾀하는 전략이다.“전기차 점유율 50%”… 공급망 구조까지 개편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점유율 50%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공공부문과 대중교통의 전동화를 먼저 추진하고, 민간 시장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2025.06.04 15:15
혼다코리아가 운영하는 복합 문화공간 ‘더 고(The Go)’가 단순한 시승센터를 넘어 자동차와 라이프스타일을 잇는 브랜드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5월 31일, 혼다는 이 공간에서 고객 초청 ‘드라이빙 라운지 토크쇼(Driving Lounge Talk Show)’를 열고 방문객들과 자동차에 대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눴다.이번 토크쇼는 혼다의 모빌리티 카페 ‘더 고’에서 운영하는 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국내 자동차 전문매체 기자와 혼다 큐레이터가 패널로 나서, 변화하는 자동차 트렌드와 하이브리드 시대에 맞는 차량 선택법, 고객 맞춤형 라이프스타일 제안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사전 신청을 통해 초청된 약 50명의 고객2025.06.04 09:05
프리미엄 브랜드의 로고, 고급스러운 실내, 강력한 출력. 하지만 수입 SUV를 구매할 때는 단순한 '감성 품질'보다 더 현실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AS 정책, 보험료, 소모품 비용 등은 국산차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항목들이다.수입차 브랜드 대부분은 3년 또는 10만km까지의 기본 보증을 제공한다. 다만, 국산차보다 서비스 네트워크가 적어 전국 어디서나 신속한 정비를 받기엔 한계가 있다. 특히, 소도시 거주자라면 서비스 접근성 문제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일부 유럽 브랜드는 수도권 외 지역에서 지정 서비스센터가 없는 경우도 있어 견인 비용 부담될 수 있다.또, 차량 가격 대비 보험료가 높은 편이다. 국산차에 비해 수입 SUV는2025.06.03 18:37
국내 전기차 전시회 ‘EV 트렌드 코리아 2025’가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막을 올렸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환경부가 주최하고 코엑스, 한국배터리산업협회, 한국자동차환경협회가 공동 주관하며, 전기차 산업의 현주소와 미래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이번 행사는 완성차부터 충전 인프라, 배터리, 전장 부품 등 총 94개 기업이 참가해 451개 부스를 꾸렸다. 참가 업체에는 현대자동차, 기아, KGM, BYD 등 완성차 브랜드뿐 아니라 모던텍, EVSIS, 에바, 워터 등 주요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와 충전사업자들이 대거 이름을 올렸다.오프닝 당일인 3일은 대선일이자 개막일로, 투표를2025.06.03 09:05
한국 수입차 시장에서 SUV의 기세가 심상치 않다. 지난해 기준 전체 수입 승용차 판매 중 SUV 비중은 50%를 훌쩍 넘어섰고, 일부 브랜드는 아예 SUV만으로 한국 시장을 운영한다. 수입 SUV는 왜 이토록 한국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비치는 걸까? 이들은 단순히 '외제차'라는 프리미엄 이미지 이상으로, 상품성과 감성에서의 무언가를 제공하고 있어서다. 이를 다섯 가지 이유로 정리해 본다.동급 국산차 대비 뛰어난 가격경쟁력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가격의 상대적 ‘합리성’이다. 대표 사례는 폭스바겐 티구안이다. 2.0 TDI 프레스티지 모델이 4000만원 초반대에 구매 가능하다. 동일한 가격대의 국산 SUV는 쏘렌토나 싼타페 하이브리드 중2025.06.02 16:17
국내 완성차 5개사가 2025년 5월 한 달간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한 차량 대수는 총 77만9311대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완만한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내수 시장은 다소 주춤했으나 수출 회복세가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현대차, 글로벌 판매 35만 대…국내는 감소세 지속현대자동차는 5월 한 달간 국내 5만8966대, 해외 29만2208대 등 총 35만117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7% 감소한 수치다.국내에선 세단과 RV 부문 모두 하락세를 보이며 5.2% 감소했다. 아반떼(6438대), 그랜저(4597대), 쏘나타(4134대) 등 세단은 총 1만5923대가 판매됐고, 팰리세이드(7682대), 싼타페(4969대) 등을 포함한 RV는 총 2만3232대가 팔렸다.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