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7 09:05
아침 출근길, 운전자는 신문을 읽고 차가 스스로 알아서 주행한다. 이런 장면은 한때 공상과학 영화의 단골 소재였다. 2025년 지금, 상상은 현실이 됐을까? 자율주행 기술의 현재 수준과 각 업체들의 접근 방식, 그리고 상용화까지 남은 과제를 살펴봤다.테슬라: 자율주행 대중화의 아이콘격인 테슬라는 현재 SAE 레벨 2 수준의 오토파일럿과 FSD(Full Self-Driving) 베타를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운전자 개입이 여전히 필수라 법적으론 고급 운전자 보조 수준이지만, 테슬라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눈과 손을 놓는” 레벨 3 혹은 그 이상의 기능을 점진적으로 열겠다고 공언했다. 테슬라의 독특한 전략은 라이다(LiDAR)를 배제한 비전2025.09.26 17:53
아우디가 2026년 대형 SUV 'Q9'을 출시하며 BMW X7과 메르세데스-벤츠 GLS가 양분하고 있는 '럭셔리 풀사이즈 SUV'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다. 수년간 소문만 무성했던 Q9은 드디어 그 실체를 드러내며 아우디 SUV 라인업의 정점에 오를 예정이다.아우디 개발 담당자 제프리 부쿼트(Geoffrey Bouquot)는 독일의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모빌보헤(Automobilwoche)'와의 인터뷰에서 신형 Q7과 함께 Q9이 내년에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두 모델 모두 최신 A5, Q5, A6와 공유하는 'PPC(Premium Platform Combustion)'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이 플랫폼은 가솔린, 디젤,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수용할 수 있도2025.09.26 17:21
한국 수입차 시장에서 캐딜락(Cadillac)은 오랜 역사를 지닌 ‘아메리칸 럭셔리’ 브랜드로 특별한 입지를 구축해왔다. 1996년 공식 진출 이후 현재까지 캐딜락은 판매 성장과 정체를 거듭하며 한국 소비자들 사이에서의 브랜드 이미지에도 여러 변화를 겪었다.판매량 추이,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전동화(EV) 추진 등 활동 흐름을 살펴보고, 경쟁 럭셔리 브랜드인 링컨(Lincoln)과 제네시스(Genesis)와의 비교 관점에서 캐딜락의 포지셔닝 변화를 분석해본다.한국 진출 초기: 대통령의 차에서 대중화 도전까지캐딜락은 1902년 미국에서 창립된 후 120년 넘게 기술 혁신으로 명성을 쌓은 브랜드로, 한국과도 오래된 인연을 갖고 있다. 한국 최초2025.09.26 16:29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는 단순한 광고 모델을 넘어, 브랜드 철학을 진정성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오너 중심의 앰배서더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라이프스타일과 밀접하게 연결된 브랜드일수록, 소비자와의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경험 기반의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지프(Jeep®)가 배우 강하늘을 브랜드 앰배서더로 선정한 것은 이러한 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다. 지프는 자연과 연결된 자유의 가치를 중심에 두고, 유명인을 내세우기보다 실제 오너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캠페인을 전개해 '특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올여름 전개된 '컬러 마이 프리덤(Color My Freedom)' 캠페인을 통해 지프는 세 가지 스페셜 컬2025.09.26 12:38
세계 최대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사인 CATL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중대 발표를 했다. CATL의 차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인 Naxtra(낙스트라)가 중국의 새로운 국가 표준 인증(GB 38031-2025)을 통과한 최초의 배터리가 되었다고 26일 공식 발표한 것이다.낙스트라 배터리는 2026년 차량에 대량 탑재될 예정이다. 이 배터리는 특히 고속 충전 기능을 크게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CATL은 2021년 1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공개한 이후 기술력을 꾸준히 시사해 왔다. 이 기술은 실온에서 15분 만에 80% 충전 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줬다.이러한 급속 충전 능력은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특별한 화학적 성질에서 비롯된2025.09.26 09:41
메르세데스-벤츠가 틱톡(TikTok)의 중국 모회사인 바이트댄스(ByteDance)와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독일 거대 자동차 기업 벤츠는 중국 시장에서 급증하는 지능형 차량 수요를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협력은 스마트 보조 운전을 포함한 여러 핵심 영역을 다룰 예정이다.25일(현지 시각) 이카이(Yicai) 보도에 따르면, 바이트댄스 인공지능(AI) 모델을 탑재한 벤츠의 새로운 전기차 CLA 모델은 올가을에 출시될 예정이다.두 회사는 이미 2023년에 협력을 시작한 바 있다. 당시 벤츠는 바이트댄스의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인 볼케이노 엔진(Volcano Engine)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그 결과, 벤츠 차량에는 동영상 공유 플랫2025.09.26 09:09
독일의 거대 산업 기업 보쉬(Bosch)가 25일(현지 시각) 자국 자동차 부문의 침체에 대한 최신 타격으로 대규모 인력 감축을 발표했다. 주로 자동차 부문에서 1만3000 개 일자리를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유럽 최대 경제 대국인 독일에서 이루어질 이번 감원은 보쉬 전체 인력의 약 10%, 전 세계 직원의 3%에 달한다.브레이크 및 조향 시스템부터 첨단 센서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생산하는 보쉬는 세계 최대 자동차 공급업체다. 회사는 이번 정리해고가 그룹의 자동차 부문에서 연간 25억 유로(약 4조 1000억 원)를 절약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독일 자동차 산업은 여러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주요 시장인 중국에서 치열한 경쟁이 큰 타격을2025.09.26 08:57
중국 최대 전기차 제조사 BYD(비야디)가 영국 자동차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25일(현지 시각) AM온라인에 따르면, BYD는 2023년 4월 영국에 첫 매장을 연 이후 불과 2년 반도 안 되는 기간 동안 100번째 프랜차이즈 대리점을 확보하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했다. 이는 전례 없는 속도의 네트워크 확장이다.BYD는 영국 주요 거점을 빠르게 선점했다. 현재 캔터베리, 치체스터, 크로이던, 입스위치, 세인트 알반스를 포함한 핵심 도시와 마을에 진출했다. 하트웰(Hartwell), 글린 홉킨(Glyn Hopkin), 존 클라크 모터 그룹(John Clark Motor Group) 등 유력 딜러 그룹들과의 파트너십이 확장의 핵심 동력이었다.이러한 공격적인 확장 덕분에2025.09.25 22:05
현대자동차는 대한민국 대표 중형 세단 쏘나타의 출시 40주년을 맞아, 쏘나타의 전신인 스텔라와 함께 '오래된 관계'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헤리티지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1983년 처음 등장한 스텔라는 포니에 이어 현대차의 두 번째 고유 승용 모델이자,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중형차 계보의 출발점이다. 1985년 스텔라의 고급 트림으로 시작된 쏘나타는 8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누적 판매량 1000만대를 향해 나아가는 글로벌 베스트셀링 모델로 자리 잡았다.현대차는 25일부터 내년 1월 4일까지 서울 남산 인근 문화공간 '피크닉(piknic)'에서 'By your side – 스텔라 & 쏘나타' 전시를 개최한다. 이 전시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2025.09.25 21:55
BMW코리아는 2005년 연간 판매량이 수천 대 수준에 불과했으나 이후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2009년 처음으로 연간 판매 9652대를 기록하며 수입차 1위에 올랐고, 2010년에는 처음 연 1만 대를 돌파했다. 2014년에는 4만174대를 판매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고, 2017년에는 연간 5만9624대로 정점을 찍었다. BMW 브랜드는 한국시장에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지켰다. 하지만 2016년부터 메르세데스-벤츠가 신형 E클래스 인기에 힘입어 1위 자리를 탈환했고, BMW는 한동안 2위에 머무르는 수모를 겪었다. 특히, 2018년에는 BMW 차량 화재 이슈로 판매가 5만524대로 전년 대비 15.3% 급감하며 벤츠와의 격차가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