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21:10
국내 첫 기아 PBV(목적기반 모빌리티) 'PV5'를 직접 시승해봤다! 아래 영상에서는 나연진 기자가 패신저와 카고, 두 모델의 실제 주행감과 실내공간, 다양한 실용적 기능을 모두 생생하게 담아 전달한다. 1회 충전 주행거리, 슬라이딩 도어/적재공간 등 주요 특징, 실제 코너링과 전기차답게 부드러운 가속력 체감, 패신저 모델은 가족, 캠핑, 다목적 활용에 최적일 거 같고, 카고 모델은 도심 배송, 상업용으로 강추다. 현대적 디자인, 넓은 시야, 기능적 레이아웃까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장단점을 살펴보려면 아래 영상을 확인하면 된다.2025.08.28 09:05
전동화 흐름 속에서 대형 3열 SUV는 여전히 중요한 선택지다. 다만, 넓은 공간과 고급스러운 주행 감각, 효율성을 모두 충족하는 전기 SUV는 드물다. 지난주 시승한 현대 아이오닉 9 캘리그래프(Calligraphy)는 이 모든 요구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고급 세단을 연상케 하는 정숙성, 완성도 높은 주행 성능, 첨단 편의 기술을 두루 갖춘 이 차가 오늘의 시승차다.아이오닉 9는 전장 5060mm, 전폭 1980mm, 전고 1755mm, 휠베이스 3130mm에 달하는 대형 SUV다. 한눈에 들어오는 크기와 균형 잡힌 비율은 아이오닉 라인업의 플래그십다운 존재감을 드러난다. 현대차가 말하는 디자인 언어는 ‘에어로스테틱(Aerosthetic)’. 슬림한 픽셀형 LED 헤드2025.08.27 09:05
최근 아우디코리아가 마련한 아우디 A6 e-트론 소규모 시승 행사에 다녀왔다. 시승 코스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폭스바겐그룹코리아 본사에서 출발해 리조트 ‘성문안’까지 왕복하는 약 250km 구간이다. 국내에 출시된 네 가지 트림 중 기자가 탑승한 모델은 최상위 사양인 퍼포먼스 S-라인 블랙에디션(Performance S-line Black Edition)이다.전기차 시장은 SUV와 크로스오버 중심으로 재편되는 추세지만, 아우디는 A6 e-트론을 통해 세단형 전기차라는 틈새를 공략한다. 배터리가 차체 하부에 배치되는 전기차의 구조적 특성상 대부분 제조사들은 SUV 비율을 선호하는데, 아우디는 전통적인 세단 비례와 전동화 기술을 결합한 전략을 택했다. 경2025.08.21 16:00
신형 포르쉐 마칸 터보는 고성능 컴팩트 SUV 시장에서 사실상 ‘기준점’에 가까운 모델이다. 이번 세대 변화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새롭게 조율된 전동화 플랫폼 기반 섀시와 파워트레인 셋업이다.이번에 시승한 마칸 터보는 최고출력 612마력, 최대토크 83.6kg·m를 발휘하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 가속까지 단 3.1초 만에 도달한다. 최고속도는 약 280km/h로, 수치만 놓고 보면 911 카레라 S와도 겹치는 영역이다.시트에 앉는 순간 느껴지는 낮은 착좌감과 운전자 중심 설계는 전형적인 포르쉐다. 3스포크 스티어링 휠과 디지털 클러스터는 운전자에게 강한 몰입감을 제공한다. 새롭게 적용된 곡선형 OLED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는2025.08.14 10:04
신형 A5는 길이 4835mm, 너비 1860mm, 높이 1455mm(휠베이스 2892mm)로 체급이 커졌다. 수치만 보면 ‘볼륨업’이지만, 얇게 눕힌 조명 그래픽과 새 2D 로고, 그리고 유리까지 함께 열리는 패스트백형 테일게이트가 실루엣의 긴장을 끝까지 유지한다. 한마디로 덩치보다 ‘자세’가 먼저 들어온다. 시승차는 40 TFSI 콰트로 S-라인. 내연기관 전용 PPC(Premium Platform Combustion) 아키텍처 위에 콰트로와 7단 S 트로닉을 얹은, 이번 세대의 표준과도 같은 조합이다.최고출력 204마력(ps)과 최대토크 34.6kg·m를 내는 2.0 TFSI는 수치 이상으로 ‘여유’를 준다. 초반 스로틀은 과장되지 않다. 1600~4000rpm 토크 밴드에서 7단 S 트로닉이 불필2025.08.14 09:05
도어를 열면 차가 얼른 자세를 낮춘다. 탑승해서 또 문을 닫으면 차가 서둘러 뛸 준비 자세를 갖춘다. 운전자의 생명을 스마트하게 붙들어주는 안전벨트 프리텐셔너를 연상시키는 편리한 기능이다. 서스펜션 높낮이를 빠르게 조절하는 이 기능은 이번 신형 포르쉐부터 적용됐다. 이 브랜드도 이런 재주가 있다니. 그것도 포르쉐 파나메라나 되니까 가능한 일이다. 이번 시승 모델은 파나메라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파나메라는 언제나 두 세계를 잇는 다리였다. 한쪽은 장거리 여행을 품격 있게 즐기려는 오너 드라이버들의 세계, 다른 한쪽은 911의 포효를 그리워하는 순수한 드라이빙 애호가들의 세계다. 디자인에서도 이유를 찾을 수 있고2025.08.12 14:52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2박 3일간 '메르세데스-AMG CLE 53 4MATIC+ 카브리올레'와 함께 수도권 도심과 외곽 도로를 약 200km 달렸다. 시승차의 강렬한 레드 컬러는 여름 햇살 아래서 금속이 달아오른 듯 반짝였고 루프를 열면 해방감이, 닫으면 단단한 쿠페 실루엣이 드러났다. 첫인상부터 '고성능 오픈톱'의 매력을 숨기지 않았다.차 앞에 서면 AMG 시그니처 디테일이 시선을 단숨에 붙잡는다. 넓은 휠 아치 속 20인치 AMG 'Y' 스포크 휠,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 전면부를 장악한 AMG 라디에이터 그릴, 크게 벌어진 공기흡입구가 존재감을 드러낸다. 블랙 소프트톱은 단순한 색상이 아니라 차의 캐릭터를 드러내는 선언처럼 느껴졌다. 시동 전부터2025.08.05 09:05
‘페라리’와 ‘패밀리’를 같은 문장에 넣는 순간부터 잘못됐다. 페라리는 늘 ‘꿈’이었다. 주유소에서 골드카드를 꺼낼 때 절대 떠올려선 안 되는 이름, 빨간색과 폭발음으로 대변되는 그 ‘비현실’. ‘간지’ 그 자체다. 그런데 이 차, 푸로산게(Purosangue)는 접근법이 조금 다르다. 첫인상의 푸로산게는 ‘그리지오 티타노’ 컬러를 입고 있었다. 얼마전 압구정에서 본 것도 같은 바로 그 차다. SUV라는 걸 눈치채는 데는 0.3초가 걸리지만, 동시에 전통적인 페라리의 향취가 콧속을 찌른다. 근데, 올드 스파이스처럼 클래식한 정향 느낌은 아니다. 길게 뻗은 보닛, 날렵한 헤드램프, 그리고 부풀어 오른 휀더가 익숙하지만, 또 어색하다.2025.07.31 15:26
2025년형 볼보 S90은 ‘마지막 내연기관 세단’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등장했다. 두 번째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며 XC90 최신 세대와 닮은 전면 디자인, 11.2인치 세로형 인포테인먼트가 새로 탑재된 것이 특징이다. 외관은 절제된 라인과 LED 라이트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며 도로 위에서 자연스럽게 존재감을 드러낸다. 그릴부터 범퍼로 이어지는 면처리는 미니멀함을 통해 우아함을 강조하며, 북유럽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볼보만의 언어가 그대로 살아있다.실내는 감성적이면서도 기능적이다. 캐빈에 들어서자마자 느껴지는 것은 고급 소재의 조화다. 가죽과 목재, 금속이 어우러진 마감은 차분하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며, 대시보드와2025.07.31 09:05
지난 주말, 목적지는 충북 단양. 시승차는 지프 브랜드의 플래그십 SUV, 그랜드 체로키 L이었다. 가족과 함께하는 여행에서 이 차를 타게 된 건 모두에게 행운이었다.대형 SUV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기준은 명확하다. 공간, 편의성, 그리고 편안함. 그런 점에서 그랜드 체로키 L은 확실한 강점을 갖췄다. 길이 5204mm, 전폭 1979mm의 여유로운 차체 사이즈는 가족 구성원에게 남다른 가치를 제공한다. 특히 2열 독립형 캡틴 시트의 매력은 탑승과 동시에 가족 모두에게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아이들이 2열과 3열에 나누어 앉았고, 시트 간 거리가 충분해 서로 불편함 없이 각자의 여정을 즐길 수 있었다. 독립형 시트는 각도 조절과 슬라이딩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