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12:27
토요타, 스바루, 렉서스가 미국에서 총 9만 4320대의 전기차를 리콜하고 판매를 중단한다고 11일(현지 시각) 카스쿠프가 보도했다. 이는 히터와 성에 제거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 때문이다. 추운 날씨에 앞유리에 서리가 낄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다.이번 리콜 대상은 2023-2025년형 토요타 bZ4X, 스바루 솔테라(Solterra), 렉서스 RZ 모델이다. 이 세 모델은 공통 플랫폼을 공유한다. 특히 토요타 bZ4X는 4만 1499대가 리콜 대상에 포함돼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미국 고속도로 교통 안전국(NHTSA)에 따르면, 이번 문제는 소프트웨어 오류 때문이다. 일부 프로그래밍이 잘못되어 차량의 공조 시스템(HV2025.09.12 11:53
유럽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자동차가 논란의 중심에 섰다. 공식 테스트와 달리 실제 주행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훨씬 더 많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이는 하이브리드 기술이 더 깨끗해졌다는 자동차 업계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11일(현지 시각)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EU가 발표한 새로운 데이터에서 PHEV 자동차의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이 공식 테스트 결과보다 거의 5배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EV는 배터리로 가는 전기 모터와 내연기관 엔진을 함께 사용한다. 올해 EU 자동차 판매의 8.6%를 차지할 만큼 인기 있는 모델이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가 금지되는 시점 이후에도2025.09.12 09:02
유럽 자동차 산업이 위기에 직면했다. 판매 부진, 높은 에너지 가격, 그리고 글로벌 경쟁 심화 때문이다. EU 산업 책임자 스테판 세주르네는 "유럽 자동차 산업이 치명적인 위험에 처해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유럽 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11일(현지 시각), 메르세데스-벤츠 CEO이자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ACEA) 회장인 올라 켈레니우스는 유럽 자동차 산업이 직면한 세 가지 주요 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유로뉴스에 밝혔다. 그가 말하는 핵심 이슈들을 통해 업계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탄소 배출 목표: 번복 아닌 '실용적 재조정'가장 먼저 논의되는 것은 탄소 배출 목표다. 켈레니2025.09.12 06:36
S&P 글로벌 모빌리티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포드와 제너럴 모터스(GM)이 고객 충성도 부문에서 선두를 차지하며 미국 자동차 시장의 강자 자리를 되찾았다. 반면, 최근 몇 년간 충성도 부문 강자였던 테슬라는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며 왕좌를 내줬다.포드는 2025년 상반기 고객 충성도 1위에 올랐다. 이는 신차 구매자 10명 중 6명 가까이(59%)가 포드 브랜드로 다시 돌아왔다는 의미다. GM은 여러 브랜드를 합산한 다중 브랜드 부문에서 68%의 높은 충성도를 기록하며 선두를 달렸다. 이는 두 거대 자동차 제조사가 테슬라에 빼앗겼던 입지를 되찾았음을 시사한다.포드의 성공은 특정 모델들의 힘이 컸다. F-시리즈 픽업, 익스페디션 SUV, 브롱2025.09.11 17:01
BYD코리아가 자사의 중형 전기 SUV ‘BYD 씨라이언 7(SEALION 7)’의 국내 고객 인도를 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첫 출고식은 지난 10일 부산 동래 전시장에서 열렸으며, 부산 진구에 거주하는 이연신 씨가 전국 1호 고객으로 차량을 전달받았다. 이 씨는 “BYD의 국내 진출 때부터 큰 관심을 가져온 만큼 첫 고객이 된 것이 매우 뜻깊다”고 소감을 밝혔다.씨라이언 7은 소형 SUV 아토 3(ATTO 3), 중형 세단 씰(SEAL)에 이어 BYD코리아가 국내 시장에 내놓는 세 번째 승용 모델이다. 특히 2026년형 연식 변경을 적용한 최신 사양으로, 전 세계 시장 중 한국에서 가장 먼저 판매가 개시됐다.씨라이언 7은 퀄컴 스냅드래곤 8155 칩셋과 주파수 가변2025.09.11 16:44
혼다가 내달 31일부터 11월 9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2025 재팬 모빌리티 쇼'에 참가해 육상, 해상, 항공을 아우르는 다양한 모빌리티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혼다는 설립 이래 모든 임직원의 '꿈(The Power of Dreams)'을 원동력 삼아 독창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현실화해 왔으며, 이번 전시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기업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혼다의 새로운 전기차 시리즈인 '혼다 0 시리즈'의 프로토타입 모델이다. 혼다는 그동안 '두껍고 무거운' 전기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얇고, 가볍고, 현명한(Thin, Light, and Wise)' 개발 철학을 적용했다.혼다 0 살룬 프로토타입은 혼다 02025.09.11 16:15
중국의 신생 기업 드림 오토(Dreame Auto)가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테슬라 기가팩토리 근처에 생산 시설 설립을 고려하고 있다고 11일 오토카가 보도했다. 만약 이 계획이 현실이 된다면, 드림 오토는 독일에 생산 기지를 마련하는 첫 번째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된다.드림 오토는 진공청소기로 유명한 가전제품 제조업체 드림 테크놀로지(Dreame Technology)의 자동차 부문이다. 이 회사는 이미 전 세계 100개국 이상, 6000개가 넘는 소매점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드림 오토는 이미 1000명에 가까운 직원을 모았다. 이들은 기존 가전 사업의 연구 개발 인력과 자동차 제조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드림 오토는 첫 번째 차로 '초고가 순수2025.09.11 14:26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100% 관세 폐지를 고려하고 있다고 10일(현지 시각) CTV가 보도했다. 이는 캐나다 내 전기차 판매 둔화와 맞물려 논쟁의 중심에 섰다. 현재 캐나다 정부는 이 문제를 심각하게 검토 중이다. 관세 폐지가 침체된 전기차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캐나다 정부는 중국산 전기차 관세 폐지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최근 나노스 리서치 설문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국민의 62%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폐지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중국이 캐나다산 농작물(예: 카놀라)에 대한 관세를 철폐해주길 기대하고 있다.히스 맥도널드 농무부 장관은 관세 폐지 또는 완화가2025.09.11 09:16
한때 중국 전기차 시장의 유망주였던 WM Motor가 파산의 늪에서 벗어나 재기를 노린다. 10일(현지 시각) 일렉트라이브에 따르면, WM Motor는 2023년 파산 신청 이후 구조조정을 거쳐 이번 달부터 생산을 재개한다. WM Motor는 2015년 설립되어 독일어로 '세계 챔피언'을 뜻하는 'Weltmeister'라는 브랜드로 차량을 판매했다. 2018년, 첫 모델인 EX5 SUV를 시작으로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더 큰 EX6와 다른 모델들도 선보였다. 하지만 2021년 공개했던 M7 전기 세단은 끝내 판매로 이어지지 못했다.코로나19 팬데믹과 공급망 문제 등이 겹치면서 회사는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다른 회사와의 인수 협상도 불발되었다. 그리고 2023년 10월, WM Mot2025.09.11 09:05
모터쇼의 ‘회복탄력성’, 뮌헨이 마중물이 된다. 코로나 때 침체됐던 세계 주요 모터쇼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지난해 베이징 모터쇼가 신에너지차(NEV) 중심의 화려한 라인업과 대규모 관람객으로 “포스트 팬데믹” 리바이벌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고, 올해 유럽에서는 IAA 모빌리티(9월 9~14일, 오픈 스페이스 동시 진행)가 그 바통을 이어받았다. 도심 전역으로 확장된 ‘오픈 스페이스’와 메세 뮌헨 전시장을 아우르는 하이브리드 포맷은 전통 전시회·컨퍼런스·생활공간 체험을 결합해 ‘모빌리티 쇼’로의 진화를 완성했다. BMW : ‘노이에 클라쎄’ 첫 양산, iX3로 시작하는 기술 대전환이번 쇼의 주연 중 하나는 BMW의 새 전기 SUV 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