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4 10:37
중국의 2대 배터리 메이커 CATL과 BYD가 초고속 ‘6C’ 배터리 경쟁을 벌이고 있다.CATL은 2024년 하반기에 6C 충전 배율을 갖춘 2세대 Qilin 배터리를 출시할 계획이며, BYD도 2세대 블레이드 배터리도 하반기에 출시하고 6C 배터리도 개발 중이라고 13일(현지시각) CNEVPOST가 보도했다. ‘C’는 배터리 크기와 충전 배율을 나타내며, 6C는 이론적으로 배터리가 1/6시간, 즉 10분 내 완전 충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C에서는 80kWh 배터리를 최대 80kW로 충전할 수 있다. 6C에서는 이론적으로 동일한 배터리를 충전 용량의 6배, 즉 최대 480kW로 충전이 가능하다.일부 중국 전기자동차(EV)가 5C 충전을 지원하는 배터리를 이제 막 탑재하기 시2024.06.11 16:02
출력 10.8MW와 저장 용량 43MWh의 테슬라 메가팩으로 구성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이 일본 센다이에서 가동됐다.테슬라 재팬은 지난주(6월 4일) 도쿄에서 북동쪽으로 약 360km 떨어진 미야기현 센다이시 센다이 발전소 부지에 대규모 배터리 시스템을 설치하고 가동을 시작했다고 11일(현지시각) 에너지스토리지뉴스가 보도했다.메가팩 설치는 리튬 이온(Li-ion) 배터리, 전력 변환 시스템(PCS), 열 관리 및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테슬라의 통합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다.일본에서는 2시간 사용(1927.2kW/3854.4kWh)과 4시간 사용(979.2kW/3916.8kWh) 구성으로 제공된다.BESS는 일본에 새롭게 문을 연 보조 서비스 시장에 진출할 예2024.06.11 09:07
모로코가 중국 기업들의 전기 배터리 허브 생산 허브가 되고 있다.모로코 월드뉴스는 10일(현지시각) 중국 고션 하이테크가 모로코와 총 투자액이 최소 24억5000만 유로(한화 3조6000억원)에 달하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생산 및 수출 허브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중국 기업들은 모로코를 지리적 위치, 무역 협정, 자원 및 마그레브 국가(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리비아, 모리타니)에 이미 존재하는 자동차 생태계를 활용하여 EV 배터리를 생산하고 유럽, 아프리카 및 미주 지역으로 수출하기 위한 물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한 ‘베팅’을 하고 있다.지난 주 중국 그룹 고션 하이테크가 모로코에 배터리 기가팩토리를 개설할 것이라고2024.06.05 17:26
BYD의 배터리 제조 부문인 핀드림스(FinDreams)가 테슬라의 상하이 에너지 저장 공장(메가팩토리)에 배터리 셀을 공급하는 새로운 업체가 됐다고 5일(현지시각) CNEVPOST가 보도했다. 핀드림스는 CATL 이후 처음으로 테슬라의 메가팩토리에 배러티 셀을 공급하는 중국 기업이 됐다. 핀드림스는 내년 1분기부터 공급을 시작하는데, 메가팩 제품 라인 주문의 2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핀드림스는 2023년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 시장 점유율 13%를 차지했다.핀드림스는 저렴한 가격과 기술력으로 계약을 따냈으며, 테슬라는 공급망 다변화와 비용 절감을 위해 핀드림스를 공급업체로 선정했다.테슬라의 상하이 메가팩토리는 연간 40GWh2024.05.29 05:32
테슬라 차량의 배터리 성능 저하 속도가 제조업체의 보증 기간보다 빠르다고 28일(현지시각) 콰르토즈가 보도했다. 이는 소비자들 사이에 불안감을 야기하고 있으며, 테슬라의 배터리 보증 정책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콰르토즈는 리커런트(Recurrent)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테슬라 모델 3 및 모델 Y 차량의 배터리는 3년 후 미국 환경보호청(EPA) 등급 주행 거리의 64%까지 성능이 저하된다고 밝혔다. 이는 테슬라가 보증하는 70% 이상의 주행 거리 유지 기준보다 낮은 수치이다.테슬라는 배터리가 8년 또는 10만마일(16만km) 중 먼저 도래하는 기간 동안 정격 주행 거리의 70% 이상을 유지할 것을 보장한다. 하지만 연구 결과는 대부2024.05.24 09:41
미국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가 중국 상하이에 대규모 에너지 저장 공장을 착공했다고 23일(현지시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신화통신은 이 공장이 테슬라가 미국 이외 지역에서 최초로 메가팩(Megapack)으로 알려진 에너지 저장 배터리를 생산하는 에너지 저장 공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테슬라 자동차를 생산하는 상하이 기가팩토리 개장에 이어 테슬라가 중국에 투자한 또 다른 주요 사업이다.이 공장은 중국 개혁개방의 개척지이자 상하이 경제성장을 위한 강력한 엔진으로 알려진 중국‘(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 내 링강 신구’에 위치할 예정이다. 링강 신구 관계자 우 샤오화(Wu Xiaohua)는 대규모 프로젝트 건설을 완료하는2024.05.22 11:12
파나소닉 홀딩스(Panasonic Holdings)가 마쓰다(Mazda), 스바루(Subaru) 등 잠재 고객에게 공급하고 일본 공장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일본 내 생산량을 두 배 이상 늘릴 계획이라고 22일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쿠스미 유키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기자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잠재) 고객의 수요를 토대로 2030년 목표를 추정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자동차 배터리 사업 수익에 대한 우리의 도전은 특정 모델에 사용되는 배터리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 생긴다”고 밝혔다.파나소닉은 주요 고객사인 테슬라의 수요 둔화로 인해 일본 전기차 배터리 공장의 생산량을 줄여왔다.회사 문서에 따르면 파나소2024.05.21 09:05
인도네시아는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에게 자국내 전기자동차(EV)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고 투자조정장관 루후트 판자이탄이 20일(현지시각) 밝혔다.판자이탄 장관은 앞서 일론 머스크 CEO는 세계물포럼 참석차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을 만났다고 기자들에게 전했다.인도네시아는 니켈과 같은 천연자원을 활용하는 산업을 구축하기를 원하고 있다. 세계 최대 니켈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기차 배터리와 태양광 패널의 중요한 소재이기도 하다.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니켈의 40%를 공급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이 점유율을 75%로 늘릴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인도네시아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2024.05.14 10:14
독일 메르세데스-벤츠가 GLC SUV 하이브리드 모델에 중국 BYD 배터리 회사 핀드림스(FinDreams)의 배터리를 탑재한다고 13일(현지시각) CNEV포스트가 밝혔다. 이는 메르세데스-벤츠가 외부 업체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첫 번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새로운 GLC 하이브리드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와 BAIC자동차의 합작 회사인 베이징 벤츠에서 생산한다. 메르세데스-벤츠와 BYD는 2011년 2월 신에너지 자동차(NEV)에 초점을 맞춘 합작 회사 덴자(Denza)를 각각 50%씩 자금을 투자해 설립했다. 2022년 2월에는 메르세데스-벤츠 브랜드로 사명을 변경했고, 하반기에는 BYD가 덴자 지분을 90%로 늘렸다.BYD는 중국 2위의 전력 배터리 제조업체이며, 주2024.05.13 07:59
토요타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위치한 EV 배터리 공장을 2025년에 생산 시작하고 2028년에 완공할 예정이라고 12일(현지시각) 오토뉴스가 보도했다.이 공장은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EV)에 사용될 연간 30GWh의 EV 배터리를 생산한다.공장 건설은 2022년 하반기에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초기에는 켄터키주 조지타운 공장에서 생산된 3열 EV용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며, 향후에는 다양한 EV 배터리 팩을 생산한다.이 공장은 총 10개의 생산 라인을 갖추게 될 예정이며, 이 중 4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 제조 전용 라인이다. 나머지 6개 라인은 미래 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