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9 09:30
기아의 소형 전기 SUV EV3가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AWAK)가 선정한 ‘2025 대한민국 올해의 차’로 뽑혔다.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는 지난 18일 서울 장충동 크레스트 72에서 ‘2025 대한민국 올해의 차’ 시상식을 개최하고, EV3를 올해의 차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올해의 차 후보로 오른 모델들은 2024년 국내 소비자들에게 인도된 신차들을 대상으로 종합 평가가 진행됐으며, EV3는 총점 7,351점을 기록해 최고 점수를 받았다. 이와 함께 EV3는 ‘올해의 전기 SUV’ 부문까지 석권하며 2관왕에 올랐다.EV3는 지난해 7월 국내 출시된 소형 전기 SUV로, 합리적인 가격과 실용적인 성능을 앞세워 전기차 대중화를 선도하는 모델로 평가받고2025.02.19 09:03
테슬라 상하이 기가팩토리가 코드명 ‘주니퍼’로 알려진 리프레시 모델 Y의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 이번에 생산되는 모델 Y 한정판 론칭 에디션은 25만3500 위안(약 5000만원)에서 30만3500위안(약 6000만원) 사이의 가격대로 판매되며, 2월 말부터 배송이 시작될 예정이다.테슬라 차이나는 18일 웨이보를 통해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리프레시 모델 Y의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음을 공식 발표했다. 발표와 함께 공개된 사진에는 직원들이 양산을 축하하는 모습과 함께 새로운 'Glacier Blue 색상'으로 마감된 모델 Y 차량이 담겨 있다. 특히 차량 뒷부분에 부착된 ‘리어 엔드 배지’를 통해 해당 차량이 AWD 모델임이 확인되면서 더욱 관심을 모2025.02.19 08:45
세계 2위 자동차 제조업체 폭스바겐이 중국 전기 자동차(EV) 시장에서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18일 WeareWearside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1월 중국에서 단 4552대의 전기차를 판매, 전년 동월의 1만5828대에서 71%나 급감했다. 특히 ID.7 Vizzion은 단 9대만 판매되는 충격적인 결과를 보였다.모델별 판매 실적을 살펴보면, 주력인 ID.3 해치백이 65.5% 감소한 2623대, ID.4 X는 70% 감소한 1020대, ID.4 Crozz는 59.3% 감소한 889대가 판매되는 등 전반적으로 모든 전기차 판매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폭스바겐의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판매 급감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우선 중국 전기차 시장의 경쟁 심화를 들2025.02.19 08:20
1월 중국 자동차 시장은 전반적인 판매 둔화 속에서도 신에너지차(NEV)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등 뚜렷한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18일 산업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1월 중국의 국내 자동차 판매량은 2.1% 감소한 200만 대 미만으로 집계됐다.기존 내연기관 차량 판매는 약 15% 줄어 116만 대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반면, NEV 판매는 4분의 1 이상 증가한 80만 대에 육박하며 시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자리매김 했다. 이 같은 추세는 수출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전체 수출량은 6.1% 증가한 47만 대를 기록했지만, 내연기관 차량 수출은 6.6% 감소한 반면 NEV 수출은 거의 50% 급증한 15만 대를 기록했다.이러한 NEV의 성장2025.02.18 16:51
테슬라가 인도 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회동이 이루어진 직후, 테슬라가 인도에서 채용을 시작한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테슬라는 링크드인 페이지의 채용 공고를 통해 현재 13개 직무에 대한 지원자를 모집하고 있다고 18일(현지시각) NDTV가 보도했다. 여기에는 고객 대면 및 백엔드 직무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서비스 기술자와 다양한 자문 역할의 경우 인도 뭄바이와 델리에서 모두 채용이 진행 중이며, 고객 참여 관리자 및 배송 운영 전문가와 같은 직무는 뭄바이에서 채용을 하고 있다.테슬라와 인도는 그동안 인도 시장 진출에 대해 논의해 왔지만2025.02.18 09:32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최고의 자동차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편안함, 공간, 실용성은 기본이며, 운전의 즐거움까지 더해져야 한다. 2025년 현재, 다양한 가족용 자동차들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각) 오토카는 ‘2025년 가족용 자동차 Top 10’를 선정, 발표했다.1위: BMW 3시리즈 투어링BMW 3시리즈 투어링은 실용성, 운전의 즐거움, 인상적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옵션을 모두 갖춘 최고의 가족용 자동차이다.장점: 중독성 있는 주행과 핸들링의 균형, 초고효율 PHEV 모델, 모든 여행을 특별하게 만드는 매력단점: 디젤 옵션 부재, 경쟁사보다 작은 트렁크, 옵션 가격 부담2위: 다치아 조거다치아 조거는 뛰어2025.02.18 08:47
혼다와 닛산은 2026년 출범을 목표로 새로운 지주회사 설립을 추진했으나, 합병 협상이 결렬되며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두 일본 자동차 회사가 합병 무산의 원인으로 지목된 주요 쟁점에서 충돌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혼다가 닛산을 자회사로 편입하려 했던 의도와 더불어, 혼다가 닛산에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기술을 포기할 것을 요구한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17일 요미우리 신문의 영문판인 The Japan News에 따르면, 혼다는 닛산에 e-Power 기술을 포기하고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택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닛산의 핵심 기술인 e-Power에 대한 혼다의 강한 견제 의지를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닛산은 강력하게 반발하2025.02.18 07:46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성장세가 가팔라지면서 차량의 차체 구조가 소비자들의 선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핵심은 바디 온 프레임(Body-on-Frame)과 유니바디(Unibody, 또는 프레임 바디) 구조다. 주행 환경과 차량 목적에 맞는 차체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오프로드 최강자, 바디 온 프레임(Body-on-Frame)SUV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20세기 초반부터 2000년대까지, 대부분의 SUV는 바디 온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이는 트럭과 마찬가지로, 강철 프레임(뼈대) 위에 차체(바디)를 얹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런 맥락이라면 전기차 전용 플랫폼 역시2025.02.18 07:45
오프로드 시장은 전통적인 강자들과 새로운 도전자들이 함께 경쟁하는 격전지다. 지프 랭글러와 포드 브롱코 같은 클래식한 오프로더부터, 랜드로버 디펜더와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처럼 고급스러우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갖춘 모델, 그리고 픽업트럭 시장에서 KGM 무쏘, 기아 타스만, 포드 레인저, 쉐보레 콜로라도, GMC 시에라까지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한다. 이번 커버스토리에서는 현대 오프로드 시장을 대표하는 강자들을 집중 조명한다.오프로더의 아이콘, 지프 랭글러와 포드 브롱코오프로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차가 바로 지프 랭글러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군용차로 시작된 이 모델은 8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강력한 오프로드2025.02.17 12:26
지리 자동차(Geely Automobile)가 산하 전기차 브랜드 지커(Zeekr)와 링크앤코(Lynk & Co)의 합병을 완료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번 합병을 통해 지커는 링크앤코 지배 지분 51%를 인수하고, 지리는 나머지 49%를 보유한다.두 브랜드는 지커 테크놀러지 그룹(Zeekr Technology Group)이라는 새로운 법인으로 재편되어 연구 개발(R&D) 역량을 강화하고 비용 절감을 추구한다. 그룹은 R&D, 공급망, 지원 및 서비스 분야에서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용량 활용률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지커 테크놀러지 그룹은 2025년 총 71만 대의 판매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커는 32만 대, 링크앤코는 39만 대를 판매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