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모빌리티

글로벌모빌리티

중국, EV ‘마구잡이 수출’ 통제.. 내년부터 ’허가 신청’ 의무화

메뉴
0 공유

뉴스

중국, EV ‘마구잡이 수출’ 통제.. 내년부터 ’허가 신청’ 의무화

치열한 가격 경쟁에 정부가 나서 부실한 애프터 서비스 보장 강화

이정태 기자

기사입력 : 2025-09-30 09:37

수출 선적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자동차들이미지 확대보기
수출 선적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자동차들
중국 전기차(EV)가 공격적인 해외 진출 속도를 조절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올라선 중국이 순수 전기 승용차에 대해 ‘수출 허가 신청’을 의무화하는 통제를 공식화했다. 이는 치열한 가격 경쟁에 대한 국내외 우려와 부실한 애프터 서비스(A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베이징은 지난 금요일, 순수 전기 승용차에 대한 수출 통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공식 확인했다. 정부는 적절한 애프터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 더욱 엄격한 규칙을 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의 EV 수출업체들은 앞으로 상당 기간 더 많은 조사와 감독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라이선스 규칙은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이날부터 상무부는 자동차 제조업체와 승인된 회사가 수출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이미 하이브리드 및 내연기관차에 시행 중인 시스템과 유사하다.

공무원들은 필요한 AS 지원 없이 차량을 해외로 보내는 무단 수출에 불만을 품어왔다. CBT 뉴스가 보도했듯이, 열악한 서비스와 누락된 지원 네트워크는 해외 고객들을 곤란하게 만들고 브랜드 평판을 크게 훼손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또한 여러 해외 시장에서 저가 차량 중심의 가격 경쟁을 심화시키면서 현지 제조업체에 불안정을 야기했다.

중국 자동차 기술 연구 센터의 정책 연구 책임자인 우쏭취안(Wu Songquan)은 중국 브랜드가 기존 자동차 제조업체의 선례를 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출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품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이를 통해 중국산 수출 차량에 대한 장기적인 신뢰가 더욱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새로운 통제 조치가 나오는 시기는 매우 상징적이다. 중국은 최근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공식 자리매김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지적했듯이, 중국 자동차의 성장은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중국 승용차 협회 사무총장 최둥수(Cui Dongshu)는 5년 이내에 중국이 연간 1000만 대의 차량을 해외 시장에 수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중국 자체적으로는 엄청난 인구 덕분에 현지 브랜드가 연간 3천만 대의 차량을 판매할 수 있다.

최둥수 총장은 "중서부 지역과 농촌 지역과 같은 중국의 저개발 지역에는 여전히 시장 확장 잠재력이 엄청나게 많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소유 수준은 베이징과 상하이와 같은 대도시를 점차 능가할 수 있다.

현재 중국은 인구 1000명당 약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성장 잠재력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수치다. 참고로 2020년 기준으로 유럽은 인구 1000명당 641대, 미국은 860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었다. 중국은 국내외적으로 여전히 성장의 여지가 많다.


이정태 글로벌모빌리티 기자 jtlee@g-enews.com
<저작권자 © 글로벌모빌리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