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의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계획이 캘리포니아 규제 당국의 제동에 부딪혔다고 31일(현지 시각) 인디펜던트가 보도했다. 캘리포니아에서 자율주행 택시를 운영하려면 특별한 허가가 필요하지만, 테슬라는 아직 이를 받지 못했다. 안전 운전자가 탑승하는 서비스조차 마찬가지다. 이는 엘론 머스크의 장기 전략에 필수적인 로보택시 사업의 중요한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는 지난 1년간 캘리포니아 차량관리국(DMV) 관계자들과 최소 5차례 만났다. 하지만 최근 베이 지역에서 무단으로 로보택시를 시범 운영했다는 이유로 규제 당국의 경고를 받았다. 회사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서비스를 홍보한 직후 발생한 일이었다. 이에 테슬라 규제 담당 고문인 케이시 블레인은 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게시물이 오해를 불러일으켰다고 해명하며 혼란에 대해 사과했다. 그는 규제 당국에 "단계적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으며, 직원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먼저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자율주행 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을 회사의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그는 테슬라를 단순한 전기차 제조사를 넘어 로봇 회사로 변모시키고 싶어 한다. 그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로보택시'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캘리포니아 규제 당국과의 마찰을 의식한 행동으로 보인다.
머스크는 캘리포니아의 규제와 정책에 불만을 표하며 테슬라 본사를 텍사스로 옮기기도 했다. 이후 테슬라와 DMV 간의 소통은 한동안 중단됐다. 샌프란시스코를 대표하는 캐서린 스테파니 하원의원은 테슬라가 "규칙을 회피하려 한다"고 비난하며, "다른 회사가 이런 규칙을 회피하려고 하면 즉시 폐쇄될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가 현재 보유한 허가증은 일반 차량을 이용한 운송 서비스만 허용한다. 블레인 고문도 자율주행 서비스를 위해서는 추가 허가가 필요함을 인정했다. 테슬라 로보택시가 캘리포니아에서 성공적으로 운행되기 위해서는 DMV와 CPUC의 추가 허가를 반드시 받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