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기술의 한계 탓인지 하이브리드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개념이 너무 넓고 기술적 차이도 상당하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빠르게 진화하면서, 운전자들이 이해해야 할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하이브리드는 크게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가장 기본적인 하이브리드(HEV)는 엔진과 모터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나뉜다.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중에서도 가장 가벼운 형태다. 소형 배터리와 저출력 모터를 탑재하고 있다. 차량의 구동을 직접 담당하기보다는 엔진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출발 시 엔진의 부담을 덜어주거나 가속 시 모터가 힘을 보태 연료 소비를 줄이는 방식이다. 판매량 수집 때는 일반 내연차로 분류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의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 외부에서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탑재해 일정 거리까지는 순수 전기 모드로 주행이 가능하다. 배터리가 방전되면 엔진이 작동해 하이브리드 모드로 전환된다. 최근 PHEV 모델들은 배터리 용량이 증가하면서 실질적인 전기차 주행거리가 늘어나고 있다.
하이브리드(HEV)는 비교적 오랜 역사가 있으며, 브랜드마다 차별화된 기술이 적용된다. HEV의 기본 개념은 엔진과 모터가 함께 작동하면서 연료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지만, 그 방식에는 큰 차이가 있다.
우선 병렬식 하이브리드는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하는 구조다. 토요타, 현대·기아 등이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저속에서는 모터가 주행을 담당하고 고속에서는 엔진이 더욱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반면, 직렬식 하이브리드는 모터만으로 구동되며, 엔진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예가 혼다의 ‘i-MMD(Intelligent Multi-Mode Drive)’ 시스템으로, 엔진은 직접 구동에 개입하지 않고 오직 발전용으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모터의 응답성과 주행 질감을 높일 수 있으며, 전기차와 유사한 주행감을 제공한다.
직병렬식 하이브리드는 병렬식과 직렬식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 주행 상황에 따라 모터와 엔진이 적절하게 역할을 분담한다. 토요타의 ‘THS(Toyota Hybrid System)’가 대표적이며, 전기모드 주행과 엔진 구동을 상황에 맞게 최적화해 연료 소비를 줄인다.
하이브리드는 단순히 내연기관을 보완하는 기술에서 벗어나, 전동화 시대의 과도기적 솔루션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최근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단순한 연료 절감에서 나아가 성능 개선까지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