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기차(EV) 시장에 대대적인 변화의 물결이 닥쳤다. 새 전기차 구매 시 제공되던 최대 7500 달러(약 1000만 원) 연방 세액 공제(IRA) 혜택이 10월 1일부로 공식 종료된 것이다.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이 사라지자, 시장은 즉각적인 충격에 휩싸였다.
포드 CEO "판매량 절반 줄어도 안 놀랍다" 경고
이번 세액 공제 종료에 대해 자동차 업계 거물들은 노골적인 우려를 표했다. 포드(Ford)의 짐 팔리(Jim Farley) CEO는 시장 침체 가능성을 공식화했다. 그는 "미국 내 전기차 판매 비중이 절반으로 줄어도 전혀 놀랍지 않을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이 발언은 보조금에 의존했던 미국 EV 시장의 취약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세액 공제는 소비자들에게 1000만 원에 달하는 가격 인하 효과를 제공했다. 이 혜택은 EV 구매를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제 구매자들은 이 금액만큼을 고스란히 지불해야 한다. 이는 곧 소비자들에게 1000만 원짜리 가격표가 갑자기 다시 붙은 셈이다. 정부의 재정 지원이라는 젖줄이 끊긴 것이다.
제조사들 사비로 '임시 보조금' 지급 등 긴급 대응
정부 보조금 종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완성차 제조사들은 발 빠르게 움직였다. 특히 미국 시장을 주도하는 GM과 포드가 가장 적극적이다. 그들은 자체 금융사를 동원해 임시방편을 마련했다.
이들은 딜러 재고 차량에 선결금(인센티브)을 투입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 돈은 제조사 자체 자금에서 나온다. 이는 소비자들이 느끼는 가격 부담을 줄이기 위함이다. 사실상 정부 보조금을 회사 자체의 할인 혜택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이 전략은 당장의 판매 급감을 막으려는 긴급 방어 조치다. 제조사들은 자체적인 할인 전쟁을 시작한 셈이다. 보조금이 사라지자마자, 가격 경쟁력이 곧 생존 경쟁이 되었다.
'세액 혜택 종료' 리스 시장, '틈새'를 노린다
EV 구매와 더불어 리스(Lease)에 대한 세액 공제 7500달러 혜택도 9월 30일부로 종료됐다. 리스 역시 차량을 장기간 빌려 쓰는 방식이다.
그러나 일부 완성차 업체들은 이 리스 프로그램을 통해 자체적인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려 시도 중이다. 이는 복잡한 세금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제조사가 리스 회사에 차량을 판매할 때 받는 '상업용 차량 세액 공제'를 활용할 수 있다. 이 구조를 이용해 리스 비용을 낮추는 방식이다. 이 틈새 전략이 소비자들에게는 여전히 매력적인 가격대를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경쟁의 시작.. '진짜' 가치가 시험대에 오르다
미국 EV 시장은 이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정부 지원 시대는 끝났다. 이제 제조사의 진정한 가격 경쟁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포드 CEO의 경고처럼 판매량이 일시적으로 급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제조사들의 공격적인 인센티브는 시장을 방어할 것이다. 이 위기를 극복하는 열쇠는 순수한 제품 경쟁력과 원가 혁신에 있다. 결국 전기차 대중화는 보조금 없이도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매력에 달려 있다. 미국 EV 시장은 이제 보조금 없는 냉정한 경쟁의 서막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