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모빌리티

글로벌모빌리티

[시장분석] 생계형 1톤 트럭 시장, ‘포터·봉고’ 독점 체제 흔들릴까?

메뉴
0 공유

뉴스

[시장분석] 생계형 1톤 트럭 시장, ‘포터·봉고’ 독점 체제 흔들릴까?

현대기아 LPG 전환, BYD 가격 인하… 전동화 시험대에 선 소형 상용차

육동윤 기자

기사입력 : 2025-09-18 18:13

기아 봉고3 LPG 모델 사진=기아이미지 확대보기
기아 봉고3 LPG 모델 사진=기아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1톤 트럭은 단순한 상용차를 넘어선다. 연간 등록 대수가 20만 대에 이르는 최대급 시장이며, 소상공인·영세 자영업자부터 물류 기업까지 수요층이 두텁다. 흔히 ‘서민의 발’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한국 상용차 산업 전체의 기반이 되는 세그먼트다.

현대기아, 압도적 독주에서 디젤 단종으로

현대차 포터와 기아 봉고는 1톤 트럭 시장의 절대 강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집계에 따르면 2023년 포터는 9만5000여 대, 봉고는 7만5000여 대가 팔리며 전체 시장의 85% 이상을 차지했다. 사실상 ‘양강 독점’이다.

하지만, 2024년부터 상황이 달라졌다.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와 전동화 로드맵에 따라 현대기아는 디젤 모델 단종을 단행했다. 대신 LPG 모델을 내놨지만, 반응은 기대에 못 미친다. 기존 디젤 특유의 토크와 내구성을 경험해 온 사용자들은 “힘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고, 충전 인프라의 부족도 한계로 꼽힌다. 그럼에도 정부의 친환경차 보조금, 도심 진입 규제 완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일부 의견이기도 하다.

BYD T4K 사진=BYD코리아이미지 확대보기
BYD T4K 사진=BYD코리아

BYD, 전기트럭 T4K로 도전

중국 BYD는 T4K 전기트럭으로 국내 시장을 두드리고 있다. 출시 초기에는 6000만 원대 가격과 LFP 배터리 탑재로 “가격 대비 매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주행거리와 출력 면에서도 기존 디젤 대비 아쉬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분위기는 많이 달라졌다. BYD는 특장차 모델을 다양화하면서 보급형 전략을 병행했고 보조금 적용 시 3000만 원대 중반까지 낮아졌다. 게다가 지난해 말부터는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연이어 가며 최저 1900만 원대에서 평균 2000만 원 초중반대까지 실 구매가를 제시하며 판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는 몇 가지 단점을 보완하며 현대기아와 직접 경쟁 가능한 수준을 갖춘 것이다. 여기에 LFP 배터리의 낮은 가격과 긴 수명, 화재 안정성은 초기 우려와 달리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지자체와 관공서, 택배 물류업체에서 BYD 전기트럭을 시험 운용하거나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기아 PV5 사진=기아이미지 확대보기
기아 PV5 사진=기아

다변화되는 시장 구도

전환기의 틈새를 노리는 업체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현대차는 포터, 기아는 봉고 외에 차세대 PBV 모델인 현대 ST1과 기아 PV5를 통해 본격적인 전동화 상용차 라인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두 모델은 단순한 1톤 트럭을 넘어, 물류·배달·승합까지 아우르는 플랫폼 전략의 일환이다.

이와 함께 수입 상용차 브랜드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 일본 이스즈는 이미 중·소형 트럭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했고, 포드 역시 미국 내 전기 상용차(E-Transit)를 한국에 들여올 가능성이 거론된다. 다만 가격과 A/S망 문제는 여전히 높은 장벽이다.

한국 1톤 트럭 시장의 승부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가격 경쟁력이다. 전기 모델이 보조금을 감안하더라도 3000만~4000만 원대에 안착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둘째, 충전 및 충전 시간 문제다. 택배·영업용 차량은 하루 200km 이상을 주행하는 경우가 많아, 충전 인프라의 밀도와 속도가 직접적인 구매 요인으로 작용한다. 셋째, 특장차 수요다. 냉동탑차, 윙바디, 덤프 등 파생 모델을 얼마나 유연하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시장 지배력이 달라진다.

현재로선 현대기아의 포터·봉고가 여전히 시장을 압도하고 있지만, 디젤 단종 이후의 공백과 BYD의 가격 공세는 시장 균형에 변화를 예고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1톤 트럭 시장은 단순히 상용차가 아니라, 한국 전동화 정책의 시험대”라고 평가한다. 결국, 누가 ‘실사용자 중심의 효율’을 잡아내느냐가 승부처다.


육동윤 글로벌모빌리티 기자 ydy332@g-enews.com
<저작권자 © 글로벌모빌리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