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무역 협상 수석대표는 미국과 무역 협상에서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인하가 없으면 의미가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일본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일본은 미국의 새로운 시한에 맞춰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8일(현지시각) 외신에 따르면, 료세이 아카자와 일본 경제산업성 장관은 "자동차 관세에 대한 합의 없이 미국과 협상을 타결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강조하며, 일본 자동차 산업 보호가 최우선 과제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또한 일본이 조기 합의를 위해 농업 부문을 희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측은 현재 무역, 비관세 문제, 경제 안보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패키지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아카자와 장관은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40분간 전화 통화 후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양국 장관은 적극 대화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7월 9일이었던 관세 부과 시한을 8월 1일로 연기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하며, 각국이 수용 가능한 제안을 할 경우 시한을 추가 연기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해 달러-엔 환율은 2주간 최고치인 146.44엔까지 상승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7월 31일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낮게 평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환율 문제를 논의할 계획은 현재 없다고 밝혔다.
일본은 당초 7월 9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했으며, 대신 자동차 관세 철폐에 집중하고 있다. 7월 2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미국에 성급한 양보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의 연정이 상원에서 다수당을 차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 무역 협상에 복잡성을 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미국의 새로운 관세 부과 움직임은 일본 경제가 1분기 GDP가 위축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나왔다. 경제학자들은 이번 관세가 일본의 연간 성장률을 0.7%포인트 삭감하고 경기 침체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