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생산 시설 이전 시간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에 부과했던 관세를 일시적으로 면제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했던 무역 정책 기조에 다소 유연성을 보이는 발언으로 해석될 수 있다.
CBS에 따르면, 14일(현지시각) 대통령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회사들이 캐나다, 멕시코 및 기타 지역에서 미국으로 생산 시설을 이전하는 데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는 복잡하게 얽힌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의 현실을 고려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업체인 제너럴 모터스(GM), 포드(Ford), 스텔란티스(Stellantis)의 공급망은 여러 국가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미국 내에서만 차량을 100% 생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전문가들은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 주요 무역 파트너 국가로부터 상당량의 자동차 부품을 조달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한 미국산 자동차'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도 관세 정책을 번복하며 금융 시장에 상당한 변동성을 야기한 바 있으며, 경제 전문가들은 그의 무역 정책이 미국 경제를 올해 경기 침체로 몰아넣을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자동차 제조업 부흥을 목표로 설계한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는,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자동차 가격을 수천 달러나 인상시킬 가능성이 높다. 웨드부시 증권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지난 3월 31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새로운 관세가 시행될 경우 일반적인 자동차 가격이 '즉석에서' 5000달러(약 700만원)에서 1만달러(약 1400만원) 사이로 상승할 수 있다고 추정한 바 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일시 유예' 가능성 시사는, 그의 강경 무역 정책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함께, 자동차 산업의 복잡한 현실을 일부 인정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조치일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적으로 미국의 자동차 산업 정책 방향이 어떻게 설정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적인 정책 변화와 그에 따른 시장 영향을 예의주시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