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EV) 시장의 미래를 향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배터리 투자가 위기에 처했다. 당초 업계는 전 세계 EV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 크게 기대했다. 특히 북미 지역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 건설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이 야심찬 생산 능력의 상당 부분이 10년 말까지 가동 중단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전망이 나왔다. 이는 전기차 수요 둔화와 맞물린 결과다.
컨설팅 업체 알릭스파트너스(AlixPartners)는 심각한 과잉 공급 상황을 예고했다. 2030년까지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생산량이 전기차 수요의 약 세 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북미 지역의 상황은 더욱 극단적이다. 북미의 배터리 생산 능력은 그때쯤이면 약 4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과잉 수용 전망에 따라, 많은 제조업체들이 이미 생산 계획을 축소하고 있다.
미국 배터리 제조에 가장 공격적이었던 투자자 중 하나인 포드가 대표적인 예다. 포드는 이미 계획된 배터리 용량을 35% 줄였다. 포드는 SK On과 함께 켄터키에 58억 달러 규모의 시설을 건설 중이었다. 또한 북미 수요 감소로 인해 주력 전기 픽업트럭인 F-150 라이트닝 생산을 무기한 중단했다.
제너럴 모터스(GM) 역시 변화를 피하지 못했다. 오하이오와 테네시에서 LG 에너지솔루션과 함께 운영하는 배터리 공장에서 1550명의 직원 해고가 확인되었다. 이는 "단기적인 전기차 도입 둔화" 때문이었다.
테슬라의 주요 공급업체인 파나소닉도 영향을 받았다. 파나소닉은 7월에 캔자스에 새로운 배터리 공장을 개설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생산 시점은 아직 밝히지 않았다. 당초 2026 회계연도 말까지 목표를 달성할 예정이었다. 테슬라 수요 감소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 둔화로 인해 일부 사업은 완전히 취소되기도 했다. T1 에너지는 조지아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이후 프로젝트를 중단했다.
새로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는 이 같은 현상을 가속화했다. 정책은 내연기관 차량 쪽으로 균형을 더욱 기울였다. 정부는 7500달러의 연방 EV 세액공제를 없앴다.
또한 배출 목표 미달성에 대한 벌금을 폐지했다. 이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통적인 내연기관 생산을 다시 확대하는 것을 더욱 수월하게 만들었다. 전기차 수요가 둔화되는 가운데, 정책적인 지원마저 줄어들면서 배터리 '버블'이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