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국내 극장가는 1000만 관객 동원 배우 송강호 씨를 피하는 분위기 이었다. 송강호 씨가 주연한 ‘날랏말싸미(감독 조철현)’가 27일 전국 주요 극장가에 걸리자 방화와 외화가 모두 개봉을 미룬 것이다.
29일 영화계에 따르면 송강호 씨가 주연을 맡아 흥행한 영화는 2019년 기생충(감독 봉준호, 7월 27일 현재 1003만3,444명), 2017년 택시운전사(감독 장훈, 1218만9355명), 2013년 변호인(감독 양우석, 1137만4892명), 2006년 괴물(감독 봉준호, 1091만7400명) 등이다.
이외에도 송강호 씨는 봉준호 감독과 호흡을 맞춘 2013년 설국열차와 2003년 살인의 추억 역시 900만명 이상이 관람하면서 흥행에 성공했다.
날랏말싸미는 세종대왕(송강호)이 한글을 창제하게 된 여러 가지 이유 가운데 하나를 극화 한 것으로 송강호 씨는 괴물 이후 13년 만에 박해일(신미 스님)과 열연했다.
[정수남 기자의 英車記 英車] 흥행 보증수표 ‘송강호’ 피한 영화계, 車 LLP 제한적
이미지 확대보기마리아 칼라스서 나오는 롤스로이스의 환희의 여신상 엠블럼. 사진=정수남 기자
극중 일본의 스님들은 세종대왕을 찾아 태종이 왜국(일본)에 주기로 약속한 8만대장경을 달라고 요구한다. 세종대왕은 조선이 유교를 국교로 하지만, 불교를 믿는 백성이 많다는 점을 들어 팔만대장경 내주기를 망설인다.
그러던 중 해인사에서 팔만대장경을 관리하는 신미 스님이 세종대왕의 부름을 받고 한양으로 입성하고, 그는 왜국 스님들과 단판을 짓고 팔만대장경을 지킨다.
이어 세종대왕과 독대한 신미 스님은 세종이 새로운 문자를 만든다는 것을 알게 된다. 소리 문자인 산스크리트어에 능통한 신미 스님은 세종의 권유로 한글 창제 작업에 참여하게 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