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도 지난해 캐나다 네마스카리튬과 수산화리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LG화학은 내년부터 2025년까지 연간 7000톤의 수산화리튬을 확보하게 됐다. 7000t의 수산화리튬은 한번 충전으로 320㎞ 이상 주행 가능한 전기차 14만대에 탑재 가능한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다.
앞서 LG화학은 중국 장시 간펑리튬과 4만8000t의 수산화리튬 장기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반면, 포스코는 수산화리튬을 폐2차전지에서 수거한 인산리튬으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인산리튬의 전환농축 작업을 거쳐 수산화리튬으로 만드는 것으로, 리튬 회수율이 80% 이상이라 경제성이 높다.
아울러 제조 과정에서 고형 폐기물도 발생하지 않고, 불순물 함량도 경쟁사 제품의 30% 수준이라는 게 포스코 설명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연산 1500t 규모의 수산화리튬 생산라인을 광양 공장에 건립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산화리튬은 한번 완충으로 500㎞ 이상 주행이 가능한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에 최적화된 원재료”라며 “관련 업체들이 다양한 공급선 확보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중국은 수산화리튬 등 희귀 금속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어, 우리나라가 중국의 경제 속국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역 1위국이 중국인데다, 향후 시장성이 밝은 친환경 차량의 원재료 의존도가 높아 질 전망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