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19 16:47
한국의 전기차시장을 직접 챙기기 위해 메르세데스 벤츠그룹을 이끄는 올라 칼레니우스(Ola Kaellenius)CEO가 오는 24일 한국을 방문한다고 18일 밝혔다.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메르세데스 벤츠 ’올 일렉트릭 쇼케이스’에서 올라 칼레니우스CEO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메르세데스 벤츠그룹의 전략을 발표할 방침이다.또, 메르세데스-마이바흐의 첫 번째 순수 전기차의 국내 최초 공개와 함께 메르세데스 벤츠의 전동화 및 럭셔리 비전과 탄소중립 달성도 발표할 예정이다.뮌헨 IAA 모빌리티쇼 등 바쁜 일정을 앞둔 시점에 올라 칼레니우스CEO가 직접 한국을 찾은 이유는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 마이바흐와 전기차시장과 직접 챙기겠다는2023.08.19 16:44
불과 5~6년 전만 하더라도 엔트리급 3000만원대 혹은 그 이하의 수입차를 비교하는 일이 많았다. 가격으로 국산차와의 점유율 경쟁에 나서려는 수입차들의 무모한 도전이었다. 최근에는 다시 프리미엄으로 가닥을 잡았다. 전략의 핵심은 전기차 다양성이다.18일 업계에 따르면 보조금을 받는 전기차 가격대 내에서 선택지가 다양해졌다. 특히, 수입 전기차 비율이 상당히 높아졌다. 가격보다는 럭셔리한 느낌, 조용하고 편안한 승차감, 그리고 독특한 개성을 앞세우고 있다.테슬라가 모델 S를 국내에 판매하던 전동화 초창기에 수입 전기차는 없었다. 국산 전기차는 주행거리가 200km를 겨우 넘는 아이오닉이 전부였다. 우선 지금의 국산 순수전기2023.08.18 05:54
신차급 디자인 변경으로 이목을 끈 쏘렌토가 다시 한번 국내 중형 SUV 시장을 강타한다. 이미 국민 중형 SUV로 인식되고 있지만, 상품성 개선을 통해 한 번 더 단단한 입지를 굳히겠다는 의도다. 단순히 상품성 개선 모델로 신차 못지않은 이목을 끌고 있다는 것은 이례적이다.17일 기아는 서울 광진구 워커힐에서 4세대 상품성 개선 모델 더 뉴 쏘렌토의 미디어 쇼케이스 행사를 가졌다. 공식 판매는 18일부터 시작한다.쏘렌토는 지난 2002년 1세대로 처음 출시해 4세대까지 이어오며 국내 중형 SUV 시장에서 판매량이 가장 많은 모델로 기록됐다. 세단의 강세를 한풀 꺾고 SUV 트랜드를 이끌기도 했으며, 명실공히 브랜드 대표 모델로 자리 잡았2023.08.18 05:52
국내 소바자들의 뜨거운 호응에 포르쉐코리아가 브랜드 최고 효자 모델 신형 카이엔을 빠르게 들여왔다. 카이엔은 국내 7개 라인업 중 가장 판매량이 많은 모델이다. 퍼포먼스와 실용성을 실현했고 비즈니스에서 가족 단위 고객들에게도 적잖은 매력을 어필한다는 점에서 반응이 좋은 편이다.포르쉐코리아는 17일 서울 청담 레스파트 에트나에서 3세대 신형 카이엔의 출시 이벤트를 진행했다.이번 신형 카이엔은 외형 디자인 변경은 물론 성능 업그레이드, 거기다 여러 가지 기능들을 기본화하고 새로운 디지털 경험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페이스리프트지만 풀체인지에 가까운 변화를 시도했다.홀가 게어만 포르쉐코리아 대표는 “포르쉐 카이2023.08.18 05:50
급성장하는 인도 자동차 시장에 현대자동차의 영향력도 한층 더 커질 전망이다.현대차는 16일(현지시각) GM인도법인(이하 GMI)의 탈레가온 공장을 인수 본계약을 체결하고 인도 자동차 시장의 수요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인도 하리야나주(州) 구루그람(Gurugram)에 위치한 현대차 인도법인(HMI)에서 GMI와 진행한 이날 체결식에는 현대차 김언수 인도아중동대권역장 부사장, 아시프 카트리(Asifhusen Khatri) GMI 생산담당 부사장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절차는 올해 안으로 인도 정부의 승인 등 선결 조건이 충족되면 현대차가 GMI 탈레가온 공장의 특정된 대지와 설비에 대한 권리를 완전하게 취득하게2023.08.18 05:48
테슬라가 또 가격 인하를 감행했다. 잦은 변동, 들쑥날쑥 가격 변동이 극심하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테슬라는 환경교란종으로 불릴 정도다.16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대형 시장에서 차량 가격 인하를 발표했다. 중국의 경우 모델 Y의 가격을 1만4000위안(약 256만원) 내렸다. 지난 1월에 이어 7개월 만에 다시 공격적인 행보를 보인 것. 일각에서는 경영 여건이 좋지 않다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속내는 다를 수 있다는 게 또 다른 분석이다. BYD, 길리 등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점유율 확대에 따른 대응 방안이라는 것.테슬라는 미국에서도 가격 인하를 감행했다. 대상은 모델S와 X 두 차종이다. 인하 폭은 1만달러(약2023.08.16 12:26
그레칼레는 한때 기블리를 통해 누렸던 마세라티의 전성기를 떠올리게 한다. 디젤의 기블리. 1억원의 가격표를 달고도 싸다는 말을 들었다. 럭셔리 이미지 탓이다. 그런 기블리를 다시 보는 듯하다. 이번에는 SUV 타입에다가 디젤 대신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달았다.지난 몇 해 동안 마세라티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페라리의 그늘에서 벗어난 것이 가장 크다. 파워트레인을 바꾸고 새로운 모델을 내놓고 좀 더 예전의 마세라티다움을 추구할 수 있게 됐다. 그레칼레는 르반떼의 뒤를 이어 마세라티의 새로운 전략을 실행하는 모델이다.탁월한 성능, 스타일리시한 라인과 캐릭터, 최상의 품질이 담긴 인테리어, 엄선된 마감재까지 두루 갖2023.08.16 12:24
자동차 업계도 이제 스트리밍 시대를 맞이한다. 미래 먹거리로 인식되는 구독 경제를 응용해 여러 방향으로 사업성을 확대하려는 노력이 엿보이는 것. 우선 표면적으로 체감하는 부분은 자동차 자체와 배터리 구독 서비스이다.14일 업계에 따르면 완성차 업체들에 구독 바람이 불었다. 특히 여러 차종을 원하는 시간만큼 원하는 시간에 까다로운 조건 없이 골라 탈 수 있는 차량 자체 구독 상품과 경제성으로 고려하는 전기차 구매에 부담을 덜어주는 배터리 구독 상품들에 특히 이목이 쏠리고 있다.자동차 구독 서비스는 차량 관리비, 보험료, 자동차세 등 부대비용이 모두 포함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점은 기존 장기 렌터2023.08.16 12:22
전 세계적 경기 침체 때는 공유 경제가 산업계를 강타했지만, 회복과 동시에 경험과 소유 욕구가 더 앞서기 시작했다. 결국 이를 보완하는 새로운 개념이 탄생하게 됐는데, 바로 자동차 구독 경제다.15일 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구독 시장 규모는 지난해 50억 달러(약 6조667억원)를 초과했다.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GMI)에 따르면 자동차 구독 시장은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35%의 성장률로 증가할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구독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 수익도 증가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자동차 구독은 현재 완성차 기업(OEM)들과 타사 서비스 공급자(Third-Party Service Provider)로 구분된다. 완성차 기업2023.08.14 08:35
세상에는 두 종류의 자동차가 있다. 뜨는 자동차와 지는 자동차. 한때 잘나가던 차들도 트랜드가 변하면 물갈이를 한다. 아쉬운 일이지만, 전동화 전환기에 따른 것인지 최근 단종된 차 곧 단종될 차들이 눈에 많이 띈다.최근 한 미국의 자동차 전문지에서는 단종 소식이 있는 25종의 자동차를 꼽았다. BMW와 벤츠 브랜드, 아우디, 쉐보레, 페라리, 포드, 그리고 제네시스와 기아에서도 단종을 알린 차들이 있다. 미국 시장 기준이라 한국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브랜드별로 다시 정리해봤다. 혹시라도 여기서 마음에 드는 차가 있다면 서둘러 전시장을 달려가야 할지도 모르겠다.메르세데스-벤츠 C·E-클래스 카브리올레 & 쿠페벤츠는 자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