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05:32
현대자동차가 23일(현지시간) 미국 콜로라도에서 열린 '파이크스 피크 힐 클라임' 대회에서 양산형 전기차 최고 기록을 세우며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파이크스 피크 힐 클라임'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모터스포츠 대회로, 해발 2862m에서 4302m까지 오르는 19.99km의 코스를 포함한다. 156개의 굴곡진 코너로 이루어져 차량의 성능뿐만 아니라 내구성과 안정성도 검증된다.현대차는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을 개조 및 비개조 형태로 참가시켰다. 개조 차량인 '아이오닉 5 N TA Spec'은 9분 30.852초로 완주하며 종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비개조 차량인 '아이오닉 5 N'은 10분 49.267초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했다.현대차 관계2024.06.24 09:05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지를 안다. 벤츠가 잘하고 인정받는 부분이다. BMW가 주장하는 것처럼 50:50 무게 배분을 말하는 게 아니다. 아우디의 트레이드 마크인 콰트로를 이야기하는 것도 아니다. 좀 더 넓고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에서의 밸런스를 말한다. 일상의 편안함과 펀드라이빙의 즐거움, 그리고 프리미엄이 공존할 수 있다는 차, 그 이상의 것을 이 차가 해냈다. 이번에는 콤팩트한 고성능 퍼포먼스 세단 AMG A35 4매틱을 시승했다. 흔히들 운전의 재미를 말할 때 차량의 상세 제원을 얘기한다. 엔진 출력에 목숨 걸고, 제로백이 퍼포먼스의 기준이 된다. 브램보나 PDK 세라믹 디스크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무자비한 옵션 가격표에 좌2024.06.23 16:05
아우디의 최신 모델 RS e-트론 GT 퍼포먼스가 912마력이라는 놀라운 출력을 자랑하며 등장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아우디는 브랜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양산차인 아우디 e-트론 GT의 2025년형 모델을 세 가지 버전으로 출시한다. 향상된 출력, 충전 속도, 주행 거리를 자랑한다. 상세 모델은 S e-트론 GT, RS e-트론 GT, 그리고 최상위 모델인 RS e-트론 GT 퍼포먼스다. RS e-트론 GT 퍼포먼스는 아우디의 가장 강력한 생산 차량으로 자리 잡았지만, 여전히 1019마력의 타이칸 터보 GT에는 미치지 못한다. 제로백은 단 2.5초, 포르쉐보다 0.2초가 느릴 뿐이다. 다른 모델들도 결코 느리지 않다. RS e-트론 GT는 845마력으로 2.8초 만에, 기본 e2024.06.22 16:05
스카이라인의 전설 닛산 GT-R이 단종된다. 닛산은 지난 16일 북미 시장을 위한 GT-R 생산이 10월에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른 시장 생산에서의 단종은 아직 확실치 않지만, 순차적으로 단종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GT-R은 전설적인 스카이라인 모델의 후속작으로 뉘르부르크링 서킷을 7분대에 끊는 등 화려한 기록들을 세운 닛산 브랜드 대표 스포츠카이다. 국내에서도 닛산 GT-R이 공식 판매된 적이 있다. 2007년 닛산 브랜드 출범 이후 2009년 GT-R 판매를 시작했고 브랜드가 퇴진할 때까지 한정 수량을 판매했다. 언제나 그렇듯 북미형 모델의 단종 소식이 전해지면서 스페셜 모델 출시 소식이 전해졌다. GT-R의 뿌리를2024.06.22 09:05
19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에서는 여전히 지속적으로 전기차 판매량이 늘고 있으며 인프라도 꾸준히 확대 중이다. 전기차 성장에 필요한 모든 것들이 조건을 갖추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건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꼽히고 있다. 경쟁에서는 주행거리가 길수록 제조사의 기술력이 보장된다는 분위기까지 조성되고 있다. 주행거리가 길고 배터리가 안정적이면 충전 횟수가 줄어드니 전기차 사용 편의성이 확보되는 것은 사실. 하지만, 효율성과는 또 다른 이야기다. 주행거리가 길려면 배터리 용량이 커야 하고 배터리 용량이 크면 차량의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된다. 무거운 차일수록 전비가 나빠지며 효율성이 떨어진다. 가격이 비싸2024.06.21 16:05
지난 13일 뉴 미니 패밀리 론칭 행사에 참석하고 뉴 미니 컨트리맨의 짧은 시승에 나섰다. 7년 만에 풀체인지된 3세대 모델이다. 일단 디자인에서는 호불호가 갈린다. 기자는 자칭 클래식이라서 개인적으로는 '불호'다. C-필러 쪽은 싼타페가 그랬던 것처럼 오프로드의 이미지를 조금 입힌 거 같은데,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다. 디자인이 전반적으로 둥글둥글한 귀여움보다는 직선에 더 가까운 라인들이 적용돼 강인한 이미지다. 헤드램프는 더 네모난 모양이 됐다. 한쪽으로 쏠렸던 고객 성비를 조금이나마 조절하려는 의도는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게 아니라면 디자이너의 성향이 조금 남성적이었던가 말이다. 차체도 커졌다. 기존 4295mm 길이,2024.06.21 09:42
부산모터쇼가 돌아왔다. 코로나 팬데믹 등 갖은 풍파를 맞으며 세계 각국의 대형 모터쇼들이 규모를 축소하고 있는 가운데, 격년으로 개막하는 부산모빌리티쇼는 벌써 12회를 맞으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참가하는 완성차 업체는 현대자동차, 기아, 제네시스, 르노코리아와 BMW·MINI 브랜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8일부터 개막하는 2024 부산모빌리티쇼에 대한 관심이 나름 뜨거워지고 있다. 물론 초창기 때와는 달리 참가 업체가 대거 줄어들어 규모가 축소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전염병이 창궐하던 2년 전보다는 훨씬 더 나은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 긍정적인 반응으로 나타난다. 게다가 이런 모터쇼 규모의 축소는 세계 5대2024.06.16 09:05
급속도로 확대되던 전기차 보급이 잠시 주춤하는 캐즘 현상을 보이고 있지만, 가족 단위 잠재 고객들은 여전히 대형 전기차 선택지가 많아지길 기대하고 있다. 효율성을 따진다면 전기차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타입이 '거거익선'이다. 하지만 배터리에 의해 결정되는 차량 가격에 따라 제조사가 고민해야 될 부분도 적지 않다. 지금 살 수 있거나 앞으로 나올 대형 전기차들을 살펴봤다.기아 EV9는 명실공히 이제 기아 브랜드의 대표 패밀리 차로 거듭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해 공간 활용성에서 아주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차체 크기는 5m가 살짝 넘는 5010mm 길이, 1980mm 너비, 높이는 1755mm인데,2024.06.15 09:05
올해 들어 전기차 대전이 본격화됐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한반도는 더욱 치열한 전장이다. 우리나라 처음으로 양산된 순수전기차는 블루온, 처음 상용화된 차는 레이EV, 첫 수입 순수전기차는 BMW i3이다. 하지만 지금은 형국이 완전히 다르다. 이제는 기술력까지 갖춘 중국산 전기차도 합류한다. 국내 전기차 아레나를 살펴봤다.미국 GM은 산하 브랜드 쉐보레의 볼트와 볼트 EV로 시작이 빨랐다. 하지만 대박을 치지는 못했다. 너무 앞서갔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는데, GM은 1996년 EV1이라는 전기차를 내놓으면서 맥을 못 춘 탓일 수도 있다. 대신, 얼마 전 또 다른 산하 브랜드이자 아메리칸 럭셔리 브랜드 캐딜락에서 순수전기차 리릭2024.06.14 17:41
현대자동차가 지난 11일 서울 용산 CGV에서 시사회를 진행했다. 아이오닉 5를 소재로 한 SF 단편 영화 '밤낚시'를 제작해 언론에 공개한 것. 상영 시간은 12분 56초로 매우 짧다. 숏폼과 같이 빠르고 재밌게 즐길 수 있는 스낵 무비라는 새로운 장르의 영화라는 현대차의 설명이다.자동차 제조사의 짧은 영화 제작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주로 신형 모델의 홍보 차원에서 시리즈 광고 개념으로 영화 제작사와 유명 감독, 배우를 섭외해 제작하기도 한다.다만, 현대차가 공개한 이번 영화는 브랜드 전기차 대표 아이오닉 5에 설치된 카메라(빌트인캠, 서라운드뷰, 디지털 사이드 미러 등)를 촬영에 활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상영 내내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