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1 08:15
폭스바겐이 그룹(이하 폭스바겐)이 ‘중국 내, 중국을 위한’ 전략을 채택해 중국 내 수익성 있는 성장을 모색한다고 30일(현지시각) 테슬라티가 보도했다. 폭스바겐은 신에너지 자동차인 하이브리드와 완전 전기자동차(BEV)를 개발에 집중한다.폭스바겐은 “중국은 우리의 두 번째 시장이다. 우리는 계속해서 체계적인 전략을 추진하고 그 실행에 공세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폭스바겐 CEO 올리버 블룸(Oliver Blume)은 “중국 고객의 기대에 맞추고, 제품의 출시 기간 단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동시에 선구적 기술을 추진하고 비용 효율성을 높이며, 현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고 가 덧붙였다. 폭스바겐은 베이징에서 열린 ‘2024.04.30 15:56
독일 자동차 제조사 BMW 그룹(이하 BMW)이 대규모 추가 투자를 하며 ‘오랜 중국 사랑’을 다시한번 확인했다. BMW는 4월 26일(현지시각) 중국 랴오닝성의 성도인 선양의 생산 기지에 200억 위안(한화 3조8000억원)을 추가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선양에 본사를 둔 랴오닝 대학교의 유 미아오지에(Yu Miaojie) 총장은 “랴오닝의 탄탄한 산업 기반, 고품질 산업 인력,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로 인해 BMW와 같은 다국적 기업이 이 지역에 계속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유 총장은 “더 중요한 것은 자동차 제조와 같은 자본 집약적 산업이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산업 지원과 강력한 산업 기반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라며, “랴오2024.04.30 15:11
BYD는 차량 판매 부진으로 1분기 순이익이 작년 4분기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BYD는 29일(현지시각) 발표한 재무 보고서에서 신에너지 차량(NEV) 제조 부문 1분기 매출이 1249억4000만위안(한화 23조7000억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3.97% 증가했지만 2023년 4분기보다 30.6% 감소했다고 밝혔다.BYD의 1분기 순이익은 45억7000만위안(한화 87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0.62% 증가했지만 2023년 4분기보다 47.33% 감소했다.매출과 이익의 감소는 주로 차량 판매 감소 때문에 발생했다. 1분기에는 중국의 춘절 연휴가 있어 일반적으로 차량 판매가 계절적으로 가장 낮은 시기이다.앞서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1분기 BYD의 NEV(순전기자동차) 판매량2024.04.30 10:22
메르세데스-AMG는 29일(현지시각) 2024년 여름 미국 시장에 출시될 예정인 새로운 ‘2024 AMG CLE 53 쿠페’를 공개했다. 스포티한 2도어 쿠페는 ‘AMG C 클래스’의 민첩성과 스포티함과 ‘AMG E 클래스’의 우아함을 결합하여 완벽하게 조화로운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을 선사한다.새로운 CLE 53 쿠페에는 ‘AMG 강화 3.0리터 인라인 6기통 터보차저 엔진’이 장착되어 있다. 이 엔진은 최첨단 기술로 업그레이드되어 이전 모델보다 더욱 강력하고 효율적인 성능을 발휘한다.2024 메르세데스-AMG CLE 53 쿠페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AMG 강화 3.0리터 인라인 6기통 터보차저 엔진· 최대 출력: 443hp· 최대 토크: 413lb-ft (오버부스트 사용2024.04.30 10:04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 주가가 29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15% 이상 급등하며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급등세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인 FSD(풀 셀프 드라이빙)의 중국 출시를 앞두고 투자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테슬라 FSD, 어디까지 왔나FSD는 테슬라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분석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인공지능)는 도로 상황을 파악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를 인식하며, 안전한 경로를 계획한다. 또한, FSD는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개선되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한다.FSD는 오토파일럿, 신호등 자동 인식, 자동 차선 변경 등2024.04.29 17:29
전세계 전기자동차(EV)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중국이 5G 등 네크워크가 연결된 차세대 자동차 ‘커넥티드 카’ 시장도 주도할 것이라고 29일(현지시각) 스토리보드18이 카운터포인트 조사를 인용해 밝혔다. 커넥티드 카는 네트워크에 연결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조사에 따르면 2024~2030년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전 세계 판매량이 5억 대를 돌파하고, 2030년에 판매되는 커넥티드카 10대 중 약 9대는 5G 기능을 내장하게 된다고 예측했다.커넥티드 카 시장은 중국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인도, 일본, 독일이 그 뒤를 이었다.현재 자동차는 전기 드라이브 트레인, AI 기반 자율 주행, 고급 HMI, 실시2024.04.29 16:49
인도의 자동차 산업은 눈부신 성장을 보이며 일본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자동차 시장이 됐다. 1위는 미국, 2위는 중국이 차지했다.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다양한 차종 중에서 SUV가 판매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성장의 원동력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수많은 SUV 모델 중 100만 대 이상 판매라는 인상적인 이정표를 달성한 모델은 단 세 개뿐이다.마루티 스즈키의 브레자(Brezza), 현대자동차의 크레타(Creta), 마힌드라의 스콜피오(Scorpio)는 인도에서 놀라운 판매 기록을 달성한 SUV이다. 인도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차량들에 대해 살펴본다.마루티 스즈키 브레자2016년에 처음 출시된 마루티는 2022년에 브레자를 업그레이드했다.2024.04.29 13:12
카엑스퍼트는 29일(현지시각) 향후 12개월 동안 호주에 출시될 가장 기대되는 신차 중 하나인 SUV 기반의 픽업 트럭 기아 ‘타스맨(Tasman) ute(이하 타스맨)’를 소개했다.카엑스퍼트는 기사를 통해 타스맨이 올해 공개되어 2025년 호주 오픈 테니스 토너먼트에 맞춰 호주를 강타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또 타스맨이 VFACTS 판매 차트에서 2위를 차지하기 위해 마쯔다(Mazda)와 포드에 도전하면서 호주 현지에서 기아 제품군의 또 다른 공백을 메울 것이라고 덧붙였다.타스맨 베스트셀러 포드 레이전와 토요타 힐룩스와 마찬가지로 박스형 디자인의 차체 온 프레임 차량이다.기아는 타스맨이 픽업 드럭 부문 선두를 차지하기를 원한다고 확인했다2024.04.29 12:43
4년 만에 개최된 ‘2024 베이징 모터쇼’는 중국 전기자동차(EV) 기업들의 무대가 됐다. BYD, BAIC, Changan, Nio, XPeng 등 수많은 중국 기업들이 최신 EV 모델들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BYD의 세련된 디자인의 Fang Cheng Bao Super 9 로드스터는 이탈디자인의 아즈텍과 SLR 맥라렌 스털링 모스 슈퍼카를 연상시키며 큰 화제를 모았다. 이들 중국 EV 기업들은 중국과 유럽, 동남아 등 시장을 휘젓고 있지만, 미국 시장만 두고 보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딜러 네트워크 부족이 미국 시장 진출에 발목을 잡고 있다.미국내 딜러 네트워크 부족의 현실미국 자동차 시장은 전통적으로 딜러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다. 소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