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16:29
BMW코리아는 창립 30주년을 맞아 오는 10일 오후 3시부터 BMW 샵 온라인을 통해 7종의 특별 한정 M 에디션을 선보인다. ‘BMW M 패밀리’ 콘셉트로 구성된 이번 7월 온라인 한정판은 고성능 주행 성능과 모터스포츠 감성을 강조한 구성으로, 전량 온라인 한정 판매된다.이번 에디션은 ▲뉴 M135 xDrive 프로 퍼스트 에디션 ▲뉴 M235 xDrive 그란 쿠페 프로 퍼스트 에디션 ▲뉴 M3 CS 투어링 스페셜 에디션 ▲M5 젠시안 블루 에디션 ▲M2 쿠페 자바 그린 에디션 ▲M3 컴페티션 M xDrive 파이어 레드 에디션 ▲M4 컴페티션 M xDrive 스피드 옐로우 에디션 등 총 7개 모델이다.먼저 뉴 M135 xDrive와 M235 xDrive 그란 쿠페 프로 퍼스트 에디션은 12025.07.08 15:54
전동화의 상징이었던 피아트 500e가 다시 내연기관을 장착하고 돌아온다. 수요 부진으로 수차례 생산 중단을 겪었던 500e의 부진을 인정한 피아트는 지난해 말, 기존 전기차 플랫폼에 가솔린 엔진을 얹은 ‘500 하이브리드’를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 토리노 미라피오리(Mirafiori) 공장에서는 이미 시험 생산이 시작됐으며, 오는 11월부터 양산차가 본격 출고된다. 연말까지 약 5000대가 출하될 예정이다.피아트 CEO 올리비에 프랑수아는 새 모델을 가리켜 “현실적인 소비자를 위한 500, 실용적인 500”이라고 표현했다. 이탈리아 현지 기준으로 시작가는 1만7000유로(약 2730만원)로, EV 버전보다 약 5000유로 저렴하다.2025.07.08 09:05
1990년대, 누군가의 아버지가 탔고, 어떤 가족은 그 차로 처음 캠핑을 떠났으며, 한 세대의 'SUV'라는 개념을 뿌리내리게 한 상징이었다. 가끔 현역으로 뛰는 모델을 보기도 한다. 그날은 운수 좋은 날이 되기도 하지만 말이다. 그리고 지금, 그 무쏘가 돌아왔다. 디젤도, V6도 아닌 ‘전기’라는 새로운 심장을 달고서.이번 시승은 경기 북부 산간 도로와 도심을 오가며 약 120km 구간에서 진행했다. 첫인상은 솔직히 이질감이 컸다. 요즘 레트로가 유행이다. 랜드로버가 ‘디펜더’를, 포드가 ‘브롱코’를 부활시켰다. 이들 모두 이질감이 컸다고 한다면 KGM의 무쏘는 고개가 끄덕여진다. 무쏘 EV는 전기 SUV 시장에서 독특한 포지션에 서 있다2025.07.07 23:39
올해 들어 전 세계 신차 5대 중 1대가 전기동력차로 팔렸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1일 발표한 ‘2025년 1~5월 글로벌 전기동력차 시장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전 세계에서 전기동력차(BEV, PHEV, FCEV 포함)는 전년 동기 대비 33.6% 증가한 773만 대가 판매되며, 전체 신차 시장의 21.1%를 차지했다.특히 순수전기차(BEV)는 502만 대로 34.5% 증가했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역시 272만 대가 팔리며 31.9%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BEV는 전체 신차의 13.7%, PHEV는 7.4% 비중이다. 주요 성장 동력은 중국과 유럽 시장이었다.중국에서는 내수 활성화 정책과 가격 인하 경쟁이 맞물리며 전년 대비 41.1% 증가한 522만2025.07.07 10:33
롤스로이스모터카가 현지 시각으로 지난 3일, 단 한 대만 제작된 비스포크 모델 ‘팬텀 덩텔(Phantom Dentelle)’을 공개했다. 이번 모델은 고급 수공예 레이스(lace)에서 영감을 받은 예술적 표현물이자, 중동 지역 한 고객이 아버지를 위한 헌정의 의미로 특별 제작을 의뢰한 차량이다.팬텀 덩텔은 롤스로이스의 플래그십 롱휠베이스 모델 ‘팬텀 익스텐디드’를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프로젝트는 오직 초청된 고객만 출입 가능한 ‘두바이 프라이빗 오피스’를 통해 진행됐다. 이곳은 고객이 비스포크 디자이너 및 고객경험 매니저와 긴밀히 협업해 자신만의 롤스로이스를 만들어낼 수 있는 공간이다.실내 디자인은 세계적인 오트 쿠튀르 아틀2025.07.07 09:59
BMW의 대표 프리미엄 세단 5시리즈가 올해 상반기(1~6월) 국내 시장에서 총 1만2786대가 판매되며 전년 동기(1만1159대) 대비 약 15%의 판매 증가를 기록했다. BMW코리아는 전통적인 내연기관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순수전기차까지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갖춘 5시리즈 라인업이 소비자에게 풍부한 선택지를 제공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2023년 국내에 처음 출시된 8세대 5시리즈는 이후 PHEV 모델인 530e xDrive와 고성능 550e xDrive, 그리고 사륜구동 전기차 i5 xDrive40 등 새로운 트림이 추가되며 현재 총 10가지 파워트레인으로 판매 중이다.상반기 가장 많이 판매된 모델은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 520i로, 총 7116대가 출고됐다. B2025.07.07 09:48
메르세데스-벤츠가 최근 공개한 전기 세단 ‘더 뉴 CLA’에 대해 온라인상에서는 호불호가 갈리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달랐다. 벤츠 측은 유럽 내 전기 CLA 주문량이 “매우 고무적”이라며 올해 말부터 생산라인을 3교대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요르그 부르처(Joerg Burzer) 생산총괄은 “온라인 반응과 달리 소비자들은 실제로 지갑을 열고 있다”며 “예상보다 빠르게 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독일에서는 지난 4월부터 주문 접수를 시작했으며, 일부 고객은 2026년 이후에나 차량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독일 경제지 <아우토모빌보헤>에 따르면 이는 단순한 생산 지연이 아니라 수요가 공급을 초과한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2025.07.05 09:05
한국 전기차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그 중심에는 중국 전기차 브랜드들의 본격적인 움직임이 있다. 특히 이번에 BYD가 중형 세단 ‘씰(Seal)’을 출시하면서, 단순히 저가 보급형 모델이 아닌 프리미엄 전기 세단 시장까지 넘보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미 그 이전에 출시한 소형 전기 SUV ‘아토3’는 올해 4월 첫 출고 이후 한 달 만에 543대가 등록되며 테슬라 모델Y를 제치고 수입 전기차 판매 1위를 차지했다. 이후 1.5개월 만에 누적 출고 1000대를 돌파하며 빠른 속도로 소비자에게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아토3는 가격만 내세운 차량이 아니었다. 약 2000만 원대 실구매가에도 불구하고 휠베이스 2720mm의 공간, 독특한 실내 디2025.07.04 09:05
한국 전기차 시장에 중국 BYD의 중형 세단 ‘씰(Seal)’이 등장하며 뜨거운 경쟁이 예고된다. 이에 맞서 폴스타 3, 테슬라 모델 3, BMW i4, 현대 아이오닉6까지 총 다섯 대의 전기 세단이 소비자 선택을 놓고 격돌한다. 각기 다른 전략과 강점으로 무장한 이들의 경쟁 구도, 이제부터 차례로 살펴본다.BYD 씰(SEAL)BYD 씰은 AWD(사륜구동) 기준 4690만 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으로 등장했다. 후륜 모델은 약 4750만 원, AWD 최상위 모델은 5250만 원 수준이다. 블레이드 배터리와 듀얼 모터 기반의 퍼포먼스 모델은 최고출력 390kW, 제로백 3.8초, 최대 주행거리 WLTP 기준 570km를 기록하며, 성능과 효율 면에서 동급 최고 수준의 스펙을 자랑한2025.07.04 06:53
최근 영국의 경량 스포츠카 제조사 에어리얼(Aerial)이 상징적인 모델 ‘애텀(Atom)’의 25주년을 기념해 브랜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사양의 애텀을 공개했다. 새롭게 등장한 ‘애텀 4RR(Atom 4RR)’은 다가오는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Festival of Speed)를 앞두고 첫선을 보이며, 정통 트랙 머신으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한다.1999년 처음 공개된 애텀은 엔진을 중심으로 파이프프레임 섀시를 그대로 드러낸 극단적인 경량 스포츠카로, 25년간 유럽과 영국 트랙에서 독보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여 왔다. 이번 4RR은 그 철학을 유지하되, 성능과 에어로다이내믹 측면에서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단행했다.심장은 혼다 시빅 타입 R의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