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09:05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미국 브랜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미국 브랜드 점유율은 약 17.7%로, 독일차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차보다 앞서는 수치로, 시장 내 입지가 아직 탄탄하다는 걸 입증한다.테슬라는 3월 한 달간 2591대를 판매하며 수입차 브랜드 중 3위를 기록했다.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독보적인 위치를 보여주는 수치다. 다나와 자동차 통계에 따르면 테슬라의 모델 3와 모델 Y는 3월 각각 2344대와 178대를 판매하며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테슬라 외에도 포드, 지프, 쉐보레, 캐딜락, 링컨 등 다양한 미국 브랜드가 한국 시장에서 꾸준한 판매 실적을2025.04.25 09:05
최근 자동차 시장은 전동화로 급격히 재편되며 디젤 엔진 승용차의 시대는 저물어가는 분위기다. 실제로 디젤의 본고장 유럽에서도 디젤차 판매가 급감하여 시장 점유율이 한 자릿수로 추락했고 국내 역시 승용 디젤의 입지는 미미해졌다.이런 상황에서 폭스바겐이 간판 해치백 골프의 부분변경 2025년형을 디젤 모델로 데려온 것은 이례적으로 보일 수 있다. 디젤에 대한 선입견도 적지 않다. 물량 배분에 대한 문제도 있다. 하지만 디젤이라 우려했던 부분은 실제 주행에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도심 주행에서의 편의성과 장거리 주행에서의 경제성 측면에서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외관은 큰 틀에서 이전 세대의 실루엣을2025.04.25 07:56
세계 최대 규모의 자동차 전시회 중 하나로 꼽히는 ‘오토상하이 2025(이하 상하이오토쇼)’가 23일 상하이 국가전시컨벤션센터(NECC)에서 막을 올렸다. 언론공개 행사를 시작으로 오는 5월 2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행사에는 26개국 100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올해로 21회를 맞은 상하이오토쇼는 전시장 면적만 약 36만㎡에 달한다. 완성차 전시 전용관만 8개, 부품 및 기술 전용관은 4개로 구성됐으며, 규모만 놓고 보면 국내 최대 전시장인 킨텍스 제1전시장(1만611㎡)의 약 30배에 이른다.참가 브랜드도 다양하다.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토요타, 폭스바겐, 혼다, GM, 볼보 등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대거 참가해 각자 최신 전동2025.04.25 07:37
폭스바겐이 22일 상하이에서 전기차 콘셉트카 3종을 공개하고, 향후 3년간 중국 시장에 30종 이상의 신차를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날 공개된 차량은 ID. 아우라(AURA), ID. 에라(ERA), ID. 에보(EVO) 등 3종으로, 각각 FAW-폭스바겐, 상하이 폭스바겐, 폭스바겐 안후이와 공동 개발한 콘셉트카다. 폭스바겐은 이들 모델을 향후 양산형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했다.ID. 아우라는 엔트리급 전기 세단이다. CMP(Compact Main Platform) 기반으로, AI 기반 휴머노이드 어시스턴트가 탑재된다. 음성 명령을 통해 주요 차량 기능과 인포테인먼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센터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UI를 그대로 반영한 구성을 따른다.ID. 에라2025.04.24 09:05
하이브리드차가 전기차로 넘어가기 위한 과도기적 수단에 불과하다는 통념이 여전히 존재한다. 하지만 실제 산업 현장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기술력, 시장성, 그리고 제조사의 전략까지 고려하면 하이브리드는 단순한 중간 단계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독자 노선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최근 완성차 업계는 전기차 수요 둔화와 인프라 한계 등으로 하이브리드 기술의 실용성과 경쟁력을 다시 주목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 한국 등 주요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는 오히려 전기차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주목된다.전문가들은 하이브리드차가 전기차에 비해 충전 스트레스가 없고, 내연기관 기반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하2025.04.24 07:46
자동차 업계에서 하이브리드는 더 이상 단순한 친환경 옵션이 아니다. 특히 슈퍼카 브랜드들은 하이브리드 기술을 성능의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핵심 수단으로 삼으며, 전례 없는 '하이퍼 하이브리드' 시대를 열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페라리, 람보르기니, 포르쉐 등 전통의 스포츠카 브랜드들이 혁신적인 모델들을 선보이며 성능과 기술의 새로운 정점을 찍는다. 페라리 SF90 스트라달레, 이탈리아의 혁신적 심장페라리는 자사의 첫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슈퍼카인 SF90 스트라달레를 통해 1000마력의 벽을 허물었다. 780마력의 강력한 4.0ℓ V8 트윈터보 엔진과 220마력을 추가하는 세 개의 전기모터가 결합해 탄생한 이 하이퍼카는 순2025.04.22 08:28
BMW 그룹이 차세대 전기차 주행 기술의 미래를 담은 고성능 시험차 ‘BMW 비전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Vision Driving Experience)’를 21일 저녁(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에서 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오는 23일 개막하는 2025 상하이 모터쇼를 앞두고 열린 브랜드 나이트에서 공개된 이번 시험 차량은 기존 전기차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는 극한의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이목을 집중시켰다.BMW는 이번 비전 모델을 통해 새로운 전동화 아키텍처 ‘노이어 클라쎄(Neue Klasse)’의 진화된 주행 역학 기술을 입증했다. 차량의 핵심은 BMW가 자체 개발한 초고속 중앙 제어 컴퓨터 ‘Heart of Joy’다. 이 컴퓨터는 차량의 주행, 제동, 회생 제동, 일2025.04.20 09:05
자동차 산업은 지금 역사상 가장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친환경적인 대체 연료로 떠오르는 수소차의 발전과 AI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의 진화는 앞으로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이다. 수소연료전지와 전고체 배터리, 그리고 완전한 AI 자율주행이 결합되는 미래를 상상해보면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16일 기술적 자료에 따르면 수소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며, 배출하는 것은 물뿐인 진정한 친환경 차량이다. 현대자동차의 넥쏘(NEXO)가 이미 상용화 단계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이 수소차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수소차는 빠른 충전 속도와 긴 주행거리 등 기존 전2025.04.19 09:43
2025년 4월,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다시 추진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2기에 재점화된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고 무역 적자를 줄이겠다는 의도로 시행되었으며,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폭은 차량 한 대당 최대 1만2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왔다.미국 완성차 시장의 절반 가까이가 수입산 차량이었던 만큼, 관세 부활은 각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가격 경쟁력 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높은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하고, 수입 의존도가 큰 업체들은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SUV 중심이던 미국 소비자2025.04.19 09:05
2025년, 국내외 자동차 시장에는 ‘단종’이라는 키워드가 유난히 자주 등장한다. 최근 전문가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에서 판매되던 국산차와 수입차 중 적지 않은 모델들이 올해 생산 종료를 맞거나 단종 수순에 들어갔다. 이들은 단순한 퇴장이 아니라 향후 자동차 산업의 변화 방향을 암시하는 신호로 읽힌다. 잇따른 단종 결정의 배경을 통해 2025년 현재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흐름과 변화를 짚어본다.세단의 퇴장, SUV의 부상우선 눈에 띄는 흐름은 세단의 쇠퇴다. 쉐보레 말리부, 인피니티 Q50, 벤츠 CLS, BMW 6시리즈 GT, 폭스바겐 아테온 등 전통적 세단들이 줄줄이 단종되고 있다. 토요타 캠리조차 일본 내 판매를 종료했다. 현대 쏘나타